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 조농비가 다른 사료를 각각 급여한 젖소에 서 임신초기의 유방 크기는 HF군이 LF군 보다 2.4배 가량 유의하게 컸으나, 임신중기와 착유기 동안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Estradiol의 혈중농도는 두 군 모두 사춘기 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기간 동안 사춘기의 2~3.5배가 량이 되었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착유기 전 기간에 걸쳐서도 estradiol의 농도는 두 군간 차 이가 없었다. Progesterone의 혈중 농도는 사춘기부터 증가 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까지 두 군 모두 비슷한 농도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전 기간에 걸쳐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유량 4% FCM은 두 군 모두 분만 후 증가하다 LF군은 분만 100일, HF군은 150일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만 후 50일까지를 제외하고 그 후 전 기간에 걸 쳐 양질 조사료 함량이 높은 사료를 급여한 HF군의 젖소 에서 산유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분만 250일 까지도 높 은 산유량을 유지하였다. 우유 내 체세포 수는 분만초기를 제외하고 착유기 전 기간 동안 HF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 유지율은 분만 후 비유 초기에 LF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부터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에 우유 내 단백율, 고형율, MUN 모두 두 군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유량과 체세포 수 및 유지율을 기초로 계산한 유대에 있어 HF군이 LF군에 비하여 최고 141.5% 증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젖소의 양질 조사료의 함 량을 적당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크기나 관련 호르몬의 변화 없이 우유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우유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rso pattern made by draping and flat pattern method in terms of the size of breast. The size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as 75A and 75D according to the size of breast. Each torso pattern by the combination of the size and pattern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test the fit of the draping and flat pattern tha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ze of breast, the outer appearance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triking size difference was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n bust line level, which decides on position of the side seam in comparison of size between draping and flat pattern of 75A and 75D. In the flat patter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in the size of breast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size of breast. However, in the draping, the bigger breast led to the bigger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n bustline level. Second, the flat pattern in 75D was evaluated to be the worst in 27 items among total 46 items for the evaluation of outer appearance in the draping and flat pattern of 75A and 75D. Third, regardless of size, the draping was evaluated to be more suitable in the areas related to neck, arm hole, and waist dart than the flat pattern. These results are suggesting that the draping is a method of reflecting characteristic of the body type more accurately than the flat pattern, and that the draping is a more suitable method than the flat pattern for the design of clothing pattern of the body type with big breast like 75D.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