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용단백질 생산량 증대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 중 기존 AcNPV의 다각체 단백질 부분을 이용하여 목적단 백질의 N-말단 부위에 융합 발현함에 따라 목적 단백질의 발현량을 증대시킬수 있 는 다각체 단백질 부분 융합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누에 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생산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보고와 동일한 다각 체 단백질 서열 7가지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BmNPV 전이벡터를 이용하여 7가지 다각체 단백질 각 서열과 형광단백질을 가진 각각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제작하였 다. 각 융합단백질은 누에를 이용하여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누에의 혈림프와 지방 체를 수거하여 각각 SDS-PAGE 및 Anti-EGFP monoclonal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 분석으로 그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 융합단백질은 형광단백 질 크기인 27 kDa과 다각체 단백질 각 부분을 융합한 크기에서 확인되었다. 융합단 백질은 비융합단백질과의 발현량을 비교하였을 때 발현량이 증대되는 양상을 나 타내었다. 이와 같이, 다각체 단백질 부분 융합을 통한 유용단백질을 생산하는데 누에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단백질 대량생산에 이용 가능성 및 생산비용 절감 의 이점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virus type 2)은 단일가닥 원형DNA바이러 스이며 돼지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돼지이유자돈전신성소모성 증후군의 주요 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은 2개의 주요한 ORF를 가지고 있 으며 ORF1은 바이러스의 복제, ORF2는 캡시드단백질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 중, ORF2의 해독에 의해 생성된 캡시드단백질은 바이러스의 구조형성 뿐만 아니라 항 원단백질로써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큘러바이러스 다각체 단 백질과 부분 융합에 의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의 재조합 발현을 확 인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은 SDS-PAGE 상에서 분석하였고, 항-돼지 혈청, 항 -PCV2 ORF2 단일항체 그리고 히스텍 항체를 사용하여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 인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은 재조합 바이러스 접종 후 2일째부터 발현이 나 타나며 4일째 최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각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한 바이러스는 비융합 바이러스보다 재조합 단백질 생산이 증대 되었으며, 이는 다각 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을 이용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 ORF2의 발현 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atient complaining of severe pain in the right submandibular area showed a huge sialolith in radiogram. During the operation, the submandibular gland was much indurated, and large amount of pus was discharged out at an incision of the salivary gland. The removed salivary gland contained a huge sialolith in the major excretory duct of submandibular gland, which had an intact grayish-white surface in ovoid shape. In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its excretory ducts were extensively dilated without extravasation of saliva, and the involved salivary gland was almost destroyed by the granulomatous r eaction. Most of a cinar cells were d isappeared and r eplaced by ductal cells filled with exudative materials. The microsections of sialolith showed typical laminar structures of calcification containing amorphous basophilic material in the center, in which a lot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microorganisms were found. In the center of sialolith numerous microorganisms were admixed with mucinous materials which were strongly positive for the antibody of mucin-1, and formed multiple colonies. In the periphery of the bacterial colonies proline rich proteins (PRPs) were condensely localized, and followed by the consistent positive reaction of transglutaminase 4 (TGase-4).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ialolith of this study is formed from the primary nidus of bacterial colony aggregated with salivary mucin-1 and PRPs by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Gase-4.
        4,000원
        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grapha californic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AcNPV)의 다각체 단백질과 초록색 형광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록색 형광 단백질 유전자는 AcNPV의 완전한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앞쪽과 뒤쪽에 융합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 조절하에 도입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각각 Ac-GFPPOL 또는 Ac-POLGFP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들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곤충세포주에서는 56kDa의 융합단백질이 발현되었다. 한편, 흥미롭게도 재조합 바이러스 Ac-POLGFP에 의해 감염된 세포주에서는 초록색 형광이 핵내에서만 다각체 유사 granular particle 형태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Ac-GFPPOP에 의해 감염된 세포도주에서는 대부분 핵내에 존재하였지만, 세포질과 핵 모두에서 초록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현된 융합단백질은 분명히 다각체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다각체는 형성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융합단백질에서 다각체단백질의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
        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에서 분리한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 GY1-17균주를 이용하여 산림해충인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밤나무혹나방(Meganola melancholica),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spectalis), 잔디해충인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 채소해충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및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오리나무잎벌레와 배추좀나방유충은 7.0~2.0 conidia/ml 농도에서 처리 7일과 5일후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밤나무혹나방유충은 0.03875~3.1 conidia/ml 처리에서 66.7~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회양목명나방유충은 2.0~2.0conidia/ml 처리에서도 전혀 치사되지 않았다. 등얼룩풍뎅이유충은 3.7 conidia/ml 농도에서 46.7%의 치사율을 보였고, 거세미나방유충은 2.5 conidia/ml 농도에서 63.3%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6.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NAA, BA and GA_3) and light (blue, red and far-red) on the changes in total protein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 pattern of callus from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Nicotiana tabacum and Solanum nigrum were investigated. When the callus were irradiated with different wavelengths of light, blue and red light accelerated the synthesis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Particularly, red light led to an increase in the protein synthesis compared to blue light. When the callus were subjected to various combinations of growth regulators, NAA+GA_3 and NAA-BA treatments induced remarkable increase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accumulation, particulary in the combination of NAA+GA_3 NAA+GA_3 treatment with irradiation of red light showed highest value in the accumulation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 We conclude that simultaneous application of red light and NAA+GA_3 treatment may induce synergistic effect in the synthesis of total proteins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