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슬관절의 측면 촬영 검사방법에서 기존에 권고되고 있는 정 측면 자세에서 중심 X선의 입사 각도를 머 리 쪽 5~7°로 조정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A, 중심 X선이 슬관절 강을 향해 검사대의 수평면과 수직으로 입 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B, 경골 원위부(distal tibia)의 바깥 면(lateral side)을 방사선 투과성 물질(radiolucent materials)로 보상한(compensated) 상태에서 중심 X선을 관절 강에 수직 입사하는 방법을 검사방법 C로 분류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을 분류하여 3가지 검사방법을 각각 시행한 후, 검사영상에서 관절 강 거리(joint spac e distance)와 양측과의 거리(both condyle distance)를 정량적 지표로 설정하여 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또 한 각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검사자(Practician)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정량적 지표의 측정 결과 검사방법 A와 C는 통계적 분석 결과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검사 방법 B는 A와 C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검사방법의 편의성을 평가한 결과, 검사방법 A가 모든 항목에서 검사방법 B, C 보다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게 평가되었고, 검사방법 B와 C는 근소한 차이로 B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간단한 보조기구(support device)를 이용한 슬관절 측면 촬영 검사방법은 다소 복잡 한 준비과정 없이도 기존의 권고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관절 강의 묘사가 가능하고, 검사의 진행과정에서 검사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이용 편의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공원시설의 베리어 프리화 정비 효과 검증 및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일본 도시 공원 가이드라인의 기준에 의해 설계·시공된 공원의 실제 공원 이용자들 이용 평가 및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및 제안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기준을 갖고 실시한 공원 시설의 베리어 프리화 정비는 이용 편의성 향상이라는 효과가 있지만 똑같은 기준을 모든 공원에 적용하기 보다는 공원의 특성과 인근 주민의 속성 등, 예상되는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맞게 정비하는 것이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유효하다. 둘째 가이드라인의 대상외인 유구도 가이드라인의 대상 시설에 포함시켜 이용자의 이용 행태 및 특성을 고려해 시설물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설계 시공에 관한 기준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관한 매뉴얼을 가이드라인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공원 내부 시설 이용에 필요한 정보 내용 및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기준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