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률에 관하여 인적자원관리 대표적 체계인 고성과작업시스템 (HPWS) 관행과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WLB) 관행이 미치는 영향 및 고성과작 업시스템 관행과 일과 삶의 균형 관행과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자료 4차(2011년)부터 7차(2017년)까지 조사된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변수측정을 위한 번들 구성은 AMO(Ability, Motivation, Opportunity) 이론에 기반한 HPWS 12개의 관행과 고용 노동부에서 WLB 정책에 대해 3대 핵심분야로 분류한 유연근무, 모성보호, 휴가지원의 관행으로 각각 구성하여 변수측정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HPWS와 유연근무제도가 자발적 이직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HPWS와 유연근무제도의 상호작용은 대체(Substitute)적 조절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유연근무제도를 제외한 모성보호지원제도, 휴가지원제도는 자발적 이직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또한, 자발적 이직률과 HPWS와의 부(-)적 관계에 유의한 조절 작용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표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에서의 WLB 정책시행과 활성도의 차이(decoupling)와 여가 보다는 생산성 중심에 익숙한 조직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유연근무제도 등 일과 삶의 조화를 추구하는 관행들과 고성과 작업체제 관행들과의 적절한 균형을 추구 하는 방향으로 인적자원관리 정책이 요구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6,7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직무만족도가 이직률과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안경원 운영의 효율성 증대와 안경사의 직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인식변화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안경원 근무 안경사가 응답한 10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안경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률과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t-test와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직무만족도의 여러 요인과 이직률에 영향을 주는 이직횟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직횟수는 작업환경 만족도(p=0.035), 직무경험 만족도(p=0.036), 상사관계 만족도(p=0.048), 직무만족도(p=0.012) 와 유의성을 보였다. 근속기간은 직무경험만족도(p=0.035), 동료관계 만족도(p=0.021), 상사관계 만족도 (p=0.046)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직률은 동료 및 상사와의 유대관계가 깊고, 직무경험이 많으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