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타액선 종양 중 선양닝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과 기저세포선암종(basal cell adenocarcinoma)‘ 기저세포선종(basa l cell adenoma) 은 발생학적 기원과 조직학적 소견 등 비슷한 점이 많으나 선양낭성암종은 5년 이후의 생존율이 매우 낮으며 기저세포신 암종은 저 등급의 악성도를 보이는 둥 임상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병리학적으로 비 슷한 소견을 보이는 이 들 타액선 종OJ을 대상으로 이 형접합성 소실 (Loss of Heterozygosity. LOH) 을 분석하여 종양의 발생학적 기전을 파악하고자 히 였다 띤 구 방법으로는 기저세포선 종 4 예 기저세포선암종 5 예 선양낭성암종 30예에서 종양 상피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세 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용하여 조직에서 각각 종양 상피세포를 채취하였다 이 조직에서 각각 DNA를 추출한 후 11 쌍의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표지 자(Mi crosatellite instability marker) 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시행하였고 이 산물을 8% p이 y acrylamide gel 애 1시간 30분간 전기 영동하여 종양 상피세포의 이형접합성상실의 양상을 판독한 후 SPSS 1400을 사용하여 통계학적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조직에서 종양 상피 세포의 LOH가 나타났으며 11개 표지자 중 LOH가 말현되지 않은 표지자는 없었 다 기저세포선종,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LOH 발생 빈도는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신암종과 비교하여 선양낭성암종에서 통 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21번 염색체와 8번 염색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D21S1922와 D9S171 표지자에서 특히 높은 빈도 차 이 를 보였다. 기저세포선종과 기저세포선암종을 비교하였 을 때 전체 표지자에서 LOH 빈도 차이는 없었으나 21번 염색체와 9 번 염색체에 서 기저세포선암종의 LOH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3종류의 티액선 종양에서 선양냥성암종에서 D9S168의 발생 빈도가 가장 많았다 D9S168은 기저세포선종에서 는 LOH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저세포선암종 선양낭성암종의 경우 발현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 가하여 종양 발생 과정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구강면평 세포의 종양화는 여러 단계의 발생 순서를 거치는 다단계 발생과정 (multistep carcinogenesis) 으로 이루어지며 구강백 반증 (Ol'al leukoplakia)은 구강암 진행단계에서 악성암종으로 이행하기 전단계의 전암병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힌 구강백빈 증이 악성 암종으 로 진행하는 빈도는 상피 이형성의 여부에 따라 6 6~36%로 니타나는데 이렇게 정상 상피 세 포가 암세포로 변환히는 과정에서는 종양 유전.7-}. 종양 억제 유전자.ONA 수복 유전지- 등 여러 유전자에 대한 지속적인 변이의 축적 이 나타난다 본 연구애서는 구강암의 전암벙 소인 구강백반증 조직 에서 싱피와 섬유모세포의 유전자 변이 분석을 위해 레이저 포획 미 세절제법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을 이 용하여 16여| 의 겁체 에서 상피세포와 성유모세포를 각각 채취하고 구강암과 구강백반증에서 유전자 변이 분석에 사용된 26쌍의 mlCI'Osatellite( MSl) 표지자를 선정하여 각각의 이 형접합성상실 (Loss of Hetel"Ozygosity‘ LOH) 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 stability. MSI)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 백반증 조직의 상피와 섬유모세포 모두에 LOH/MSI 가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구강백반증 전체 조직에 서 LOH가 많이 나타나는 유전자의 위치는 염색체 21qll.l-21.1. 9p21-22. 3pI4-25. 17p12-14였고. MSI는 17p12-14‘ 5q21-23, 10q22-23 부위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LOH는 섬유모세포 보다 상피세포에서. MSI는 상피세포 보다 섬유모세포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현하였다 상피이형 성이 있는 구강백반증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06S264 표지자에서만 특이적으로 상피이형성이 있는 검체에서 LOH가 니티 났으며 나머지 표지자에서는 상피이형성괴 LOH 딸현 사이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