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재활용 섬유의 촉감 및 감성 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양모65/재활용 캐시미어35, 캐시미어65/재활용 캐시미어35, 뉴 캐시미어 100%의 동일 사양으로 제직된 저 어지 니트 원단 3종류를 20∼30대 남녀 소비자 62명을 대상으로 촉감성의 관능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8 통계패키지로 평균 및 빈도분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관능평가 결과, 기모가공 된 재활용 섬 유가 긍정적으로 겨울철 섬유소재로서 선호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재활용 섬유 및 혼방률을 인지한 후의 2차 평가 결과, 감성 평가가 낮았던 캐시미어 100% 신섬유가 ‘우아한’, ‘정장용’, ‘개성적인’ 등 긍정적 평가가 상승하였 고, 예상 가격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유사 자극에 대한 감성 반응이 정보 인지에 따라 반전되는 현상은, 촉감각보다 인지적 정보가 소비자 평가에 더 강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재활용 섬유 판단의 기준은 원단이 거칠고 딱딱하 거나 인공적인 촉감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용 섬유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 및 효과적인 정보 전달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4,300원
        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esting the validity of dimensions of restaurants’ menu pri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erception of each price dimens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people living in the capital region who have, at least on occasion, gone to family restaura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NOVA t-test. The results were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restaurant menu prices is not uni-dimensional, but has six dimensions: price-price schema, pricequality schema, value consciousness, low price proneness, price mavenism, sales proneness. Demographic variables partially affect the consumers’ perception of each menu price dimension. The result of the t-test examining dimensions of pri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was that females have a higher sales proneness than males. The t-test result according to marriage indicated that married people were higher in price-price schema and quality proneness than unmarrieds. ANOVA according to age indicated that people between ages of 20 to 29 have a higher quality proneness than those of other ages.
        4,000원
        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가격과 인지도가 소비자의 화장품 평가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 대에서 50 대 사이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대한 설명과 시제품에 대한 가격과 인지도 정보를 각각 다르게 제공한 후 일주일 이상의 사용 기간을 주고 설문을 회수하여 총 363 명의 응답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화장수, 로션에 대한 사용 평가는 인지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크림에 대한 사용평가에서는 '향'에 관한 질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격 변인에 있어 화장수, 로션, 크림에 대한 평가는 가격이 매우 비싼 제품이라는 사전 정보를 받은 집단이 저가 제품이란 사전정보를 받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인지도와 가격 변화에 따라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가격 정보나 인지도 정보가 어떻게 주어지는가에 따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의 효능평가에 있어서도 인지도와 가격에 모두 의미있게 작용했다. 효능평가에 있어서는 가격과 인지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는데, 두 변수의 결합효과가 효능지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행동이나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