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타력문의 대표적 수행법인 『자비도량참법』의 교리적 근거와 실제 수행의 구조적 연관성을 밝히고, 참법 수행의 공덕을 체계적으로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참회(懺悔)’ 용어는 후한 초기부터 형성되어 강맹상의 번역 경전에서 완성되었으며, 오체투지와 결합되어 의례적 ‘참법’으로 발전하 였다. 『자비도량참법』은 양 무제가 503년경 황후 치씨의 사후 구제를 위 해 지공 등과 편찬한 ‘양황참’이다. 전체 10권은 상・중・하 근기에 따른 삼주설법 형식으로 구성되며, 총 1,747회의 오체투지와 1,489불, 237보살에 대한 칭명염불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교리적으로는 『승만경』의 일승사상과 여래장 사상이 관통 하며, 미륵보살의 자비와 관세음보살의 대비가 근본정신을 이루고, 사무 량심과 육바라밀의 보살도 실천이 구체적 수행법으로 제시된다. 한국에서는 1282년 고려 충열왕 8년 처음 간행된 이후 지속적으로 유 통되었으며, 1474년 정희대왕대비 후원으로 왕실발원판이 간행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자비도량참법』이 참회・권청・수희・회향・발원의 오회 체 계를 갖춘 종합적 수행법임을 규명하였으며, 참법수행이 교리적 바탕 위 에서 체계적으로 구성된 타력 신앙의 완성된 형태임을 입증하였다.
        8,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