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re-extraction conditions of ethanol from catechin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a five level and two variabl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lvent ratio to sample content (1, 4, 7, 10, 13 mL/g) and extraction temperature (-20, -10, 0, 10, 20℃)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yield, epigallocatechin (EGC), epicathchin (EC),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epicatechingallate (ECG), total catechin and caffeine. ANOVA results showed that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of estimated models for dependent variables were ranged from 0.9054~0.9778, while R2 of caffeine were estimated 0.8770. The optimum ranges for the maximized extraction including yield, EGC, EC, EGCG, ECG, caffeine and total catechin were 4.5~7.5 mL/g in ratio of ethanol to sample and -8~8℃ in extraction temperature. The actual values of yield, EGC, EC, EGCG, ECG, caffeine and total catechin, respectively, at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35.02%, 13.31%, 3.978%, 19.11%, 4.29%, 5.30% and 40.68%
산업의 발전에 따라 기반시설 및 인구 등이 대도시에 밀집되어, 도시홍수방어는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재산피해 저감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 가 되었다. 요즘은 이러한 도시유역의 유출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시강우나 분단위의 강우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 시나리오 와 같은 미래 강우시나리오는 현재 일단위 수준으로 제공되므로 미래 강우에 대한 확률빈도 해석에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 기법을 이용해 일강우 자료를 시강우 자료로 분해하고자 하였다. 일자료를 시자료로 분해하기 위해 과거 시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Gram Schmidt 변환과 K 개의 최근접 표본 중 하나를 재추출하는 비모수적인 기법(KNNR)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연유출량을 월유출량으로 분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강우자료는 유출량 자료와 달리 확률밀도가 작아 일강우를 시강우로 분해하는 데 직접 적용하는 경우 결과가 실제와 유사한 통계 패턴을 갖는 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해하고자 하는 일자의 전일과 후일을 포함한 3일 강우패턴을 7개로 구분하고 동일 패턴을 가진 자료들만 분해에 이용하도록 하여 강우자료에 대한 적용성을 높였다. 과거 52년간의 서울기상관측소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자료의 분해 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분해된 시강우 자료가 관측된 시강우자료와 통계적으로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자료의 시강우 분해 등에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도시유출에 대한 빈도해석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