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급변하는 남북관계에 대응하여, 비정치적・비군사적 영역인 자연환경 분야의 남・북 협력 강화를 통해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축 및 지속가능발전 기반 마련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환경 분야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 분석, 국제협력을 다루고 있는 북한의 국가계획 및 국제사회에 북한이 제안한 협력 사업을 분석하여 잠재 협력 사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사례고찰 및 1차 전문가 설문조사(5명)를 통해 “잠재 협력사업” 15건과 “사업 선정 시 주요 고려인자” 6개(①추진 시급성, ②한반도 연계성(한반도 생태공동체), ③지속가능발전(번영) 기여, ④북한의 수용성, ⑤추진 기반(협력 여건, 예산) 구비, ⑥사업의 지속가능성)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2차 전문가 설문조사(14명)를 통해 우선 사업을 도출하였다. 자연환경 분야 15건의 잠재 남북 협력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위하여 6개 주요 고려 인자를 적용하여 통합・평균한 결과, 사업 추진 우선순위는 ①설악-금강 국제평화공원 지정 추진, ②임농복합경영(agro-forestry) 지원・협력, ③국제적 중요 이동성조류(저어새, 두루미 등) 공동 보전사업, ④남북 생태관광 연계・활성화, ⑤한반도 대표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통합정보 구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선 협력 사업들은 기존 협력사례와 협력여건을 고려한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 전문가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도출한 결과이며, 향후 실질적 추진은 사업별 성격에 따라 남・북한 간 추진 공감대 형성, 적합한 파트너와 협력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pite increasing public concern following mass media coverage regarding the risk of radon to human health and the need to control it, there remain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part of an effort to formulate an environment-management framework that can help resolv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radon, ease fears regarding the associated risks, and provide radon-specific qua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locally applicable measures for training experts specializing in the fields of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mainly based on US cases in which radon measurement and mitigation certification programs have been systematically run and supervised. Given the lack of both awareness on radon and experts in Korean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cheme to develop a radon-specific education program and a framework for expert accreditation. Thus, as groundwork for their introduction considering local circumstances, top-down measures led by the relevant department of government-led organizations, which will act as the control tower, should first be implemented to best utilize the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in this area. In addition,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educational programs and an expert certification system need to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foundations, and to support their consistent operation, a relevant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An analysis of the courses from American architectural institutions during the period of $1890^{\sim}1950$ 수식 이미지 reveals an emergence of a distinction between a purely architectural and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discipline. A reflection of the economic grow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a nation; the education of the American architect during that period assumed a professional character. In contrast to European technical institutions which concentrate on the engineering aspects of architecture, American institutions developed a more comprehensive, design oriented curriculu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merican universit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formal education for architects and architectural engineers, replacing the tradition of apprenticeship, made it possible to train future professionals according to their ideals. But the objectives, contents and products of these curricula took on divergent characteristics from institution to institution. The growth of legal regulations( ie. ACSA, NAAB, NCARB, ASEE, etc.) governing the registration of architects and engineers, emphasized the legitimate concern within the profession to determine an acceptable standard of professional education. Such regulatory standards influenced the transition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in institutions including the case of MIT. As a result, the ambivalenc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programs found specific resolution in programs, such as architectural engineering,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이엑스티(주)는 2004년 원가절감형 이엑스티 파일Ext Pile을 개발 한 이후 연구개발 전담부서를 통하여 원가절감, 공기단축, 친환경 적인 공사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끊임 없는 연구개발과 신제품 개발을 통해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초·지반분야에서 종합적인 컨설팅 전문기업으로 각종기술인증 및 건실 신기술을 획득(제684호)하였다.
또한, 이엑스티(주)의 주력제품인 이엑스티 파일Ext Pile은 지난 12 년간 총 13,000km가 시공되면서 공사비 3,700억 원을 절감 하였으 며, 공사기간을 약 36년 단축하여 국내·외에서 대형 건설기업과 건 설현장의 엔지니어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살펴보면, 20세기 이전 핵심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CRT)의 단점을 극복한 LCD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최근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성숙기로 진입한다. 그러나 LCD 시장은 2008년 이후부터 둔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2010년부터 세계적인 경기 침체, 중대형 LCD 공급 과잉 및 가격 급락, 중국의 LCD 생산 등은 LCD의 시장 성장을 둔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탐색할 필요성을 느낀다. 왜냐하면 LCD 산업은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9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LCD 산업의 둔화는 곧 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의 장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목해야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찾아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Flexible Display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In-depth Interview를 가지고 필터링하고 유사그루핑하여 Focusing된 29가지 Key-Insight Feature를 전략 플랫폼에 Mapping해 봄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Biz 기회를 탐색하고 주력분야를 예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