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기업이 경쟁사의 제휴 파트너와 제휴관계를 맺는 것은 실제 경영 현장에서 드물지 않게 볼수 있는 기업간 제휴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형태의 전략적제휴에 대한 주식 시장에서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경쟁기업의 제휴 파트너와 맺는 전략적제휴가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1995-2005 사이에 맺은 1,332개의 전략적제휴 자료를 사건연구방법(event study)을 통해 분석한 결과 경쟁기업의 제휴파트너와 맺는 전략적제휴는 그렇지 않은 전략적제휴에 비해 더 높은 누적초과수익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기업과 경쟁기업의 자원유사성이 높을 경우, 그리고 경쟁기업의 기업성과가 높을 경우에는 경쟁 기업의 파트너와 맺는 전략적제휴의 가치창출 효과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본 연구는 경쟁자를 고려한 제휴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6,700원
        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인으로 제휴 포트폴리오 내의 자원(resources)과 교섭력 (bargaining power)을 지목하고, 이들이 각각, 그리고 동시에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트폴리 오 내의 자원을 통한 가치창출(value creation) 효과와 교섭력을 통한 가치전유(value appropriation) 효과를 구분한 선행 연구들을 확장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효과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자 원과 교섭력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산업의 196개 기업의 제휴 포트 폴리오를 분석한 결과, 제휴 포트폴리오 내의 자원만을 고려하거나 교섭력만을 고려한 경우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자원과 교섭력을 함께 고려한 경우 기업성과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휴 포트폴리오의 자원과 교섭력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인 관점을 가져야 하며, 한 가지 요소가 충족되더라도 다른 한 가지 요소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제휴 전략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8,3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술제휴 동기의 주요 이론적 배경인 거래비용이론(TCE)과 자원준거이론(RBV)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기술제휴의 동기인 TCE와 RBV의 통합 분석 관점에서 기술제휴의 각 단계, 즉 기술 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국내 하이테크(High-Tech) 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시 TCE 관점과 RBV 관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버넌스 유형 선택에는 TCE 관점이 보다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의 성과에는 TCE 관점과 RBV 관점 모두 관계가 있지만 RBV 관점의 설명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양 이론의 세부 변수를 제시하고,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7,000원
        4.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략적 제휴는 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첨단 기술 산업에서는 다양한 파트너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외부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습득함으로써 기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arch(1991)가 주장한 2개 유형의 활동, 즉 탐색(exploration) 과 활용(exploitation) 간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둘 중 하나의 활동을 외부화하는 방법으로 전략적 제휴가 수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기술경영 분야에서는 탐색과 활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양손잡이 조직 (ambidextrous organization)이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기업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활동 중의 하나인 전략적 제휴에서도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탐색과 활용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손잡이 제휴(ambidextrous alliance)와 기업 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양손잡이 제휴에 대해 건수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전체적인 제휴 구성(alliance portfolio)과 개별적인 제휴 파트너(alliance partner) 측면으로 접근하여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는 높은 불확실성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외부 지식의 획득이 매우 중요한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고,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증적으로 양손잡이 제휴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실무적으로도 기업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에서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을 강조한다.
        6,600원
        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원부족이라는 벤처기업의 독특한 특성을 감안하여 자원기준관점과 이를 보완하는 관계론적 관점, 그리고 국제화와 국제직접투자, 전략적 선택 및 그들의 상호작용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회귀분석 결과는 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화, 그리고 차별화전략의 추구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기업의 기술역량과 차별화 전략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차별화전략과 국제진출간의 상호작용 변수들의 회귀계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는 기업의 기술역량과 차별화전략간, 그리고 차별화전략과 국제진출간에는 상승작용이 있어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소벤처기업은 조직내부에 보유하는 자원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부족한 자원과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파트너와의 제휴를 통한 가치창조가 중요하다. 그러나 회귀분석 결과는 벤처기업의 기술역량과 마케팅제휴, 그리고 기술역량과 생산제휴간의 상호작용은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