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영극(皮影戏)은 중국 전통 민속예술로서, 2011년 유네스코 세계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된 연극이다. 본 연구는 중국 북부지역의 산시성의 전문서적에 수록된 캐릭터 조각 및 색채, 문양을 중심으 로 분석한 결과 산시성(山西省)의 피영극은 두 종류로, 산시성 북부의 ‘효의(孝义)’는 주로 『봉신연의(封 神演义)』의 스토리 인물 캐릭터로 피영극의 주요 특징은 음각과 양각 조각의 사용과 색채가 어두우며, 종 이스크린의 배경을 사용한다. 산시성 남부의 ‘후마(侯马)’ 피영극은 산시성의 전통 연극인 ‘진극(晋剧)’의 영향을 받았으며 캐릭터의 특징은 생(生), 단(旦), 정(净), 추(丑) 4가지 역할로 망사스크린의 배경을 사용 한다. 피영극은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의상과 신앙, 생활습관, 신분, 사회제도 및 유교문화 등을 음각과 양각의 조형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전통적인 오행색(五行色)으로 색채를 연출한다. 본 연 구는 산시성 피영극의 조형예술의 특성 이해 및 전통 공예의 특징 유지와 애니메이션, 영화 등 혁신적 요소 를 더하여 아동 청소년들에게 피영극 문화의 전통적 가치를 전파와 계승 발전을 기대해 본다.
The following thesis has been composed with the inspiration attained from PaulArdenne’s conception on Contextual Art. In Europe and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group of artists who emphasize in the importance of artist’s participation in social, political,economical, environmental and moral issues. Since the 1960’s, these artists have ponderedon Modernism’s ideas where art is contextually separated from humanly issues whereas themanners of such artists put on emphasis in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the real human socialand ethical issues. Forerunner in this field of art such as Wolfgang Leib display hybrid ormeta style in their work. His work displays a quadrilateral form of pollen which representsthe simultaneous blending of two mixed ideas such as the abstract from the real. Thus heterogeneous style and philosophy which includes a range of medias andtoday’s trend is observed in Contextual Art. Such art form is also found in landscapeswhere it is not seen as an observable object but rather an interactive object. It is correlatedto Arte Povera of the Italian Art Movement, Support-Surface of the French Art Movementand lastly to the Fluxus. Through these art movements, we find a mutual antipathy towardsputting art for sales in the capitalism market and reflect the social role of art in postmodern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