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력개선을 위한 개인의 자발적 학습활동인 지속경력학습 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이 직무 및 경력에 대한 유능성 지각과 현 조직에서의 경력성장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과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인과관계, 경력적 응력 및 직무효능감이 조직경력성장(직무보상, 조직보상)에 미치는 영향력, 지속경력학습과 조직경력성 장(직무보상, 조직보상)의 관계에서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목적 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공식적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1,00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고있는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울산과 구미에 소재하고 있는 자동차, 중공업, 전자 업종 종사자 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동일방법편의 가능성을 사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시간간격 분리법을 활 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경력학습은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을 촉진하는 원인임이 확 인되었으며,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 모두 직무보상 및 조직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또한 직무효능감은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적응력은 지속경력 학습-직무보상의 관계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속경력학습이 개인의 경력에 대한 유능성 인식뿐만 아니라 현 직무와 관련된 유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검증되어, 경력개선을 위한 개인 학습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조직경력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경력 및 직무 에 대한 유능성 지각의 중요성과 지속경력학습이 조직경력성장에 이르는 메커니즘에 있어 경력적응력 및 직무효능감의 주요 역할을 입증하고 있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