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마을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 효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경남,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 537명이다. 분석방법은 기 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에서 친분성, 의존성, 정체성의 순으로 모두 복지거버넌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 회 애착도에서 의존성, 친분성, 정체성의 순으로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 의식에서 소속감 및 연대감, 충족 감, 친밀감 순으로 복지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나 소속감 및 연대감의 공동체의식이 월등히 높게 복지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 애착도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복 지거버넌 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을주민들의 긍정적 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이론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자의 만족도가 지역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하여 삶의 질과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과 분석자료는 2013년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 성과보고서를 통한 서울시내 평생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6개 대학교 평생교육 참여자 354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독립변수로 평생교육 참여자의 만족도, 매개변수로 지역공동체의식, 종속변수로 삶의 질과 사회통합으로 구성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만족도가 지역공동체의식을 통한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났다(직접효과(.346)으로 유의하였고, 간접효과(.103)와 총효과(.449) 유의함). 또한 평생교육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가 나타났다(직접효과(.074), 총효과(.080)가 유의함).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과 지역복지와의 관계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methods was that applied this education programs to the residents of the fishing village after develop of education programs, and was surveyed to ninety five residents of these. As a result of the survey, "community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education. Also, difference of residen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ducation showed the same trend too. And, If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sidents consciousness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s. In other words, an education programs applied to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effective to that raise awareness of the residents. And this can be said to contribute in empowerment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