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마을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복지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 효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경남,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 537명이다. 분석방법은 기 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에서 친분성, 의존성, 정체성의 순으로 모두 복지거버넌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 회 애착도에서 의존성, 친분성, 정체성의 순으로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 의식에서 소속감 및 연대감, 충족 감, 친밀감 순으로 복지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나 소속감 및 연대감의 공동체의식이 월등히 높게 복지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 애착도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복 지거버넌 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을주민들의 긍정적 복지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이론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해양유래 발효산물 시료로부터 분리한 호염성 미생물들의 다양성 및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호염성 미생물의 순수 분리를 위하여 marine agar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25, 37, 50oC에서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순수 분리 후, 8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3문, 7과, 9속, 24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Firmicutes문 Bacilli강은 84.9%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4과, 6속, 19종으로 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ococcaceae와 Enterococcaceae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리한 균주들이 amylase, lipase, cellulase, protease 같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소를 생산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효소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55 균주가 최소 한 종류 이상의 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신 생산능을 가지는 균주도 2 균주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를 통하여 분리한 미생물들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국내 유전자원 확보 및 시료의 호염성 미생물의 다양성과 특성에 관한 과학적 지식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미술교육에 적용이 가능한 영역별 협동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 재량적 수업 디자인의 측면이 강화된 스펜서 케이건(Spencer Kagan)의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고찰하고, 미적체험중심, 표현중심, 감상중심의 영역별 수업 디자인을 개발하여 교실 현장에 적용하였다. 학습자 활동 중심의 협동학습 구조는 학습자가 직접 선택하는 중심에 서서 능동적,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미술수업으로 전환하는데 유효함이 발견되었다. 수업 중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의 습득뿐 아니라 상호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와 사고력 및 의사소통 기술이 신장되었으며, 경험하지 못한 주제나 활동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협동학습 구조는 학습자 상호간의 활동과 사고과정을 중시함으로써, 기존의 완성작품에 치중된 평가를 개선하고 사고력과 창의성을 개발시키는데 일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짧고 간단한 활용이 가능한 협동학습 구조의 적용과 놀이 활동을 통해 수업방법을 다양화함으로서 학습활동에 흥미와 활기를 더해 주었다. 아울러 주변 소재를 활용하여 수업결과를 실생활의 장으로 확대시켰다.
Riparian vegetation gives basic habitats for animal and other biological organisms. It is one of essential landscapes in river ecosystem. This floral study was conducted to give bas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ecosystem. We discovered total 69 plant communities out of 40 sites studied and mean 8 plant communities were analysed per study site. Salix koreensis and Salix subfragilis community were dominant of all communities at tree layer and Salix gracilistyla and Rubus parvifolius were dominant communities at shrub layer. Phalaris arundinacea,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ppeared most as perennial grasses and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thunbergii and Persicaria hydropiper appeared most as annual grasses.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and Bidens frondosa were frequently present as exotic species. Grass communities were higher than tree communities because of human disturbance by artificial banks. The number of species was 182 appeared as 53 families 144 species, 34 varieties and 4 forma and mean species number was 25.5 per site. The most abundant site was Yanggang bridge site (14 vegetation association, 49 species) and the least abundant site was Namdaechon, Muju site (3 vegetation association, 12 species). We suggest that continuous riparian vegetation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to manage water environment ecolog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