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발효수산물로부터 분리된 호염성 미생물의 특성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Halophil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ermented Seafo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4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해양유래 발효산물 시료로부터 분리한 호염성 미생물들의 다양성 및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호염성 미생물의 순수 분리를 위하여 marine agar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25, 37, 50oC에서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순수 분리 후, 8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3문, 7과, 9속, 24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Firmicutes문 Bacilli강은 84.9%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4과, 6속, 19종으로 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ococcaceae와 Enterococcaceae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리한 균주들이 amylase, lipase, cellulase, protease 같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소를 생산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효소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55 균주가 최소 한 종류 이상의 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신 생산능을 가지는 균주도 2 균주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를 통하여 분리한 미생물들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국내 유전자원 확보 및 시료의 호염성 미생물의 다양성과 특성에 관한 과학적 지식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o identify the diversity of halophilic bacteria from fermented seafoods, 86 strains were isolated and a phylo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isolated strains were divided into 3 phyla, 7 families, 9 genera, and 24 species. Bacilli class, the main phyletic group, comprised 84.9% with 4 families, 6 genera, and 19 species of 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ococcaceae, and Enterococcaceae. The strains were tested for amylolytic, cellulolytic, lip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y and 55 strains showed at least one enzyme activity. Furthermore, auxin activity was determined in two strai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solated strains have the possibility for application in the food and feed industries and of being important genetic resources in Kore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호염성 세균 분리 및 배양
    16S rRNA 유전자 DNA 염기서열의 계통학적 분석
    세포외 분해 효소 활성 분석
    옥신(Auxin) 생산능 분석
결과 및 고찰
    호염성 세균 분리
    16S rRNA 유전자 DNA 염기서열의 계통학적 분석
    분해 효소 및 옥신 생산능 분석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가을(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Ga Eul Jeong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공동저자
  • 간밧 다리마(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Dariimaa Ganbat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공동저자
  • 염유정(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YuJeong Yeom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 최보경(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Bo Gyeong Choi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 이한승(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Han-Seung Lee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 박미화(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Mi-Hwa Par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Medical and Life Science, Silla University)
  • 신기선(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바이오소재연구센터) | Kee-Sun Shin (Industrial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이용직(서원대학교 바이오코스메틱학과) | Yong-Jik Lee (Department of Bio-Cosmetics,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상재(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 | Sang-Jae Lee (Department of Food Biotechnology and Research Center for Extremophiles & Marine Microbiology, Sill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