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요부 근막통증증후군이 있는 직장인 44명을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 그룹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가 요부 통증 및 관절 가동성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일주일에 3회, 6주 동안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 그룹은 호호바 오일 약 3㎖를 도포하고 대조군은 오일 없이 요추부위 에 쓰다듬기 테크닉을 적용하였다. 실험 전후를 비교한 결과 캐리어 오일 피부마 사지 그룹에서 시각 통증 상사척도, 압통 역치, 요부 관절가동성에서 유의한 효과 가 있었다. 따라서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는 요부 근막통증증후군에 적용하였을 때 물리치료 도수기법 프로그램 및 대체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락마사지가 여성의 어깨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여성 참가자들 45명을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과 판단표본추출법(judgemental sampling)에 의해 연구 대상 표본을 추출하였고, 참가자들는 S시에서 어깨 통증으로 인해 경락마사지 치료를 받는 45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주 2회 40분씩 총 16회의 경락마사지 처치를 하였다. 본 실험의 프로그램은 참가자 안정-경락마사지-경혈지압-경락마사지-참가자 안정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락마사지에 적용한 경락은 12경락 중에서 수태음폐경(LU; Lung Meridian)과 수태양소장경(SI; Small Intestine Meridian)만을 처치하였다. 측정도구는 어깨 통증에 대한 주관적인 표현을 기록하는 사상척도(Visual Analog Scale; VAS)에 의한 통증평정지수를 3회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경락마사지를 받은 여성의 어깨 통증 감소에 관한 영향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참가자의 배경변인인 연령에 따른 어깨 통증의 감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횡단면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경락마사지 치료에 따른 참가자의 어깨 통증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 통한 차이 검증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어깨 통증감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두 11개의 항목 중에서 10개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항 6번의 편두통 관련 항목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락마사지가 여성의 어깨 통증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한의학과 결합된 치료방법인 경락마사지가 어깨 통증감소에 적합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향후 여성의 어깨 통증 치료에 긍정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호소하는 통증 및 증상과 작업환경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한 인간공학 프로그램의 적용이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20명의 사무직 근로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들 중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12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간공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인간공학 프로그램은 6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증상 조사(Symptoms Survey)를 이용하여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인간공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어깨, 목, 팔/팔꿈치, 손/손목 부위에 통증이 감소하였고, 가장 많은 대상자들이 통증 감소를 보고한 신체부위는 어깨와 목이었다. 그리고 근골격계 통증 감소를 위한 스트레칭으로 구성된 체조를 실시한 1일 평균 횟수와 통증 감소간의 유의한 상관관계(p<.05)가 있었다.
결론 : 포괄적인 인간공학 프로그램(업무환경 개선, 자세 및 운동 교육 등) 제공이 사무직 근로자의 통증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근로자 본인의 건강 유지와 증진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only ultrasound and ultrasound combined with stretching of the joint capsule on the ROM increase and pain reduction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Two subjects were included in each group. In the only ultrasound treatment sessions, ultrasound was applied at the pain point of the shoulder joint in supine position. In the ultrasound combined with stretching treatment sessions, ultrasound was applied at the pain point of the shoulder joint positioned in external rotation and abduction in sitting position. Only ultrasound treatment and ultrasound combined with stretching treatment were alternately performed on each patient. Pain and disability was measured by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range of motion (ROM) was measured by scratch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ltrasound combined with stretching treatment were more effective than only ultrasound treatment in ROM increase and pain reduction. However, disability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ulligan method and electrotherapy on the pain and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In the Mulligan method sessions, the physiotherapist performed a posterior and caudal glide on the patient while the patient was performing shoulder flexion and abduction. In the electrotherapy sessions, the patient received ultrasound and interference current treatments. Mulligan method and electrotherapy were alternately performed on each patient. Pain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ange of motion (ROM) was measured by modified finger ladder.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ulligan method and electrotherapy were effective in pain reduce and ROM increase, but Mulligan method was superior to electrotherapy in ROM increase while electrotherapy was superior to Mulligan method in pain red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