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식성이리응애류는 섭식행동이 왕성한 천적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종들이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국내 토착 포식성이리응애의 이용도를 탐색하였다. 2012년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된 포식성이리응애류은 47종을 대상으로 구글 학술검색을 이용하여 논문수를 조사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3,560개로 가장 많은 수가 검색되었다. 천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서양이리응애(3,160개), 나팔이리응애(1,590개), 순이리응애(1,510개), 대중이리응애(1,260개), 긴털이리응애(1,190개), 동양이리응애 (1,020개)이었다. 백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긴꼬리이리응애(314개), 알락이리응애(109개), 엷은줄이리응애(345개), 북방이리응애(143개), 꽃무늬이리응애(200개) 등 5종이었다. 이 중 전세계적으로 상품화가 보고된 종은 사막이리응애, 서양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이다. 국내에 서식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국내외 농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중해이리응애는 5,060개가 보고되었다. 긴꼬리이리응애는 국내에서 47종의 식물에서 서식하여 가장 많은 식물 종에서 발견된 포식성이리응애로 농업해충인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가루이류를 포식하며, 농업해충 외에 농작물해충이 아닌 긴털가루응애, 설탕응애, 꽃가루 등의 섭식을 확인하여 앞으로 국내에서 농업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천적으로 활용여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리응애류는 잎응애류 뿐 아니라 녹응애류, 총채벌레 등 많은 해충들의 중요한 포식자이다. 최근 2년간(2001-2002) 경북과 수원지방 사과원에 서식하는 이리응애류를 조사한 결과, 순이리응애속의 12종과 대중이리응애속의 1종 등 총 13종의 포식성 이리응애류가 조사되었다. 우점도는 긴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북방이리응애(A. rademacheri), 동양이리응애(A. orientalis), 알락이리응애(A. makuwa) 순이었으며, 긴틸이리응애와 동양이리응애는 사과 잎에서, 북방이리응애와 알락이리응애는 주로 지면잡초에서 발견되었다. 사과 IPM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류의 이용에 관한 의견 및 각 종의 주요 서식처와 기초적 생태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13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4,200원
        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날개가 없는 몇몇 절지동물들은 공중이동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륙행동 보이는 종들이 있다. 본고는 포식성 이리응애류중에서 이륙행동을 보이는 종(Neoseiulus fallacis (Carman)) 과 이륙행동은 보이지 않으나, 공중이동률이 높은 종(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이륙행동이 없고 공중이동률이 중간치인 종(N. ca1ifornicus(McGregor))간에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어떠한 메커니즘이 작용하는 지에 관한 연구이다. 위 종들의 도보이동 자세와 공주 이동 이륙행동 자세의 몸체의 수직적 위치, 몸체의 크기, 다리의 길이 등의 자료를 가지고 공기역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한 결과, P. persimilis는 도보이동 자세에서도 N. fallacis가 이륙행동을 보여야만 얻을 수 있는 양의 항력을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류의 이륙행동 진화에 대한 고찰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