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목표지 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설문을 전국의 직장인 3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SPSS 26.0으로 신뢰도를 확보하고, AMOS 26.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인한 후, SPSS Process Macro 3.5로 부트스트랩 방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코칭리더십은 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 피드백추구행동,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그들의 피드백추구행동,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조직구성원의 피드백추구행동이 그들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은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그들의 행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과 행복 간의 관계에서 새로운 매개변수로 학습목표지향성과 피드백추구행동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습목표지향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코칭 및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피드백추구행동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foreign language learning anxiety, achievement goals,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Incorporating approach and avoidance into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goal, a 2X2 framework of achievement goals comprised mastery approach, master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in this article. Three factors, self-oriented, others-oriented,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explor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anxiety. Results indicated that all factors of achievement goals and onl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correlated to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anxiety. Analysis of the regression between the scale of language learning anxiety and the other factors showed that master approach,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pproach could predict the language learning anxiety significantly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학생과 적용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향 후 보건 계열 방사선과 전공과목에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 한 효과에 대해 논의 및 향 후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 안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학생과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학생 두 분류로 나누었고 자료 수집방법은 자가 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교육군이 비교육군 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를 검정한 결과, 5점 만점에 교육군이 3.46점, 비교육군이 2.63점으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t=9.721, p=.000), 성취목표지향성을 검정한 결과, 교육군이 3.12점, 비교육군이 2.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544, p=.000). 위의 결과로 스 마트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줬으며, 향 후 보건 계열 학과에서도 교수자는 학습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 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