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se of Korean design elements in the Hanbokwave project in 2022 in order to identify the expressed fashion characteristics and define Korean styl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98 items of clothing representing 10 Hanbok designer brands, and an analysis card was developed and used that classifies the silhouette of each item in detail. The analysis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kirt and Jeogori, the four stages of simulakr’s image were prevalent in various fashion items such as shirts, blouses, jackets, crop tops, vests, dresses, and pants. In the composition of sleeves, many western clothing methods such as set-in-sleeve use and adjustment, hardcover buttons, and zippers were used to fus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western clothing and elements of traditional Hanbok to redefine it as postmodernism. It was recognized as a modern fashion, such as the trend of mixing and matching tops and bottoms, not a skirt and Jeogori set, by layering traditional clothes without hesitation or using them as a dress. As for the silhouette of the bottoms, the A-line showed a high frequency, and the prominent shape was identified as a traditional element widely used in modern Hanboks along with the element of wrinkles.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design development for the globalization of K-fashion in the future.
        5,500원
        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experimental hanbok designs by accommodating the latest world fashion trends and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in order to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Korean fashion design. To do so, We analyze works by contemporary Korean fashion designers to investigate current developments in Korean fashion design and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within hanbok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most contemporary hanbok designs repeat stereotypes of traditional hanbok with minor modifications. So there arises a need to create new hanbok designs that are clearly distinct from traditional hanbok but also maintain its core features. To develop such designs, I apply the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which allow making experiments with form, composition, and materials use to realize new aesthetics. The use of CLO 3D fashion design software also proves to be very efficient for developing experimental designs. The study results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clothing and 3D fashion for hanbok, particularly as metaBUS, a cloud-based research synthesis platform, is rapidly gaining ground, an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re increasingly mixed in everyday life. This attempt at 3D design of hanbok is expected to trigger more creative experimentation in hanbok design.
        5,800원
        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xpression method for Korean fashion design that can hav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fashion market. For this, fashion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their opinions on the Korean motifs outlined in existing literature studies. First, aesthetic sens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have appeared in existing studies on Korean art,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Korean fashion were explored. As a result, they were categorized into: Modesty/plainness, freewheelingness, religion/custom, and humor/joke. During this process, Korean design motif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expression method of aesthetic sense. According to the opinions on Korean design motifs and Korean fashion design works drawn from the interviews with fashion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Changhomun was the favorite design motif to be utilized in Korean fashion design. The Korean specialists thought that visual design motifs were important, while the overseas specialists had more interest in abstract design motifs, which embody the background and story behind the motif. Regarding the fashion design associated with the Korean design motif, all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favored the design using ceramics and wrapping cloth. Regarding the choice of fashion image, Korean specialists chose the design utilizing Hangeul as the most Korean, while the foreign specialists chose designs reflecting the design motifs of Hangeul and Hanbok for women. The Korean specialists chose relatively more Korean images, while the foreign specialists chose more eastern images or other images than Korean images.
        4,900원
        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고는 환경에 적응적 일 때 그 효과도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 가운데 소비자에게 가장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바로 그들의 문화, 즉 정서이다. 한국적 정서는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포하는 응축된 심정의 표현으로 광고에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하여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광고 캠페인을 분석하여 그 안에 내재된 광고의 메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를 연구하고, 연구를 통해 경제적 요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情)과 문화적 요소에서 유교사상에 나타난 효(孝)를 도출하여 한국적 정서가 표현된 TV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과 범위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 캠페인의 ‘선생님 편’과 ‘삼촌 편’이며, 경동나비엔 효 시리즈의 ‘소 편’과 ‘연탄갈기 편’ TV광고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캠페인 광고는 소박하고 인정스런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에 ‘정(情)’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 소비자들이 서로 마음을 위로하는 매개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정(情)을 강조하고 정(情)이라는 한국성을 담았기 때문에 광고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경동나비엔 보일러 ‘효(孝)’ 시리즈 광고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 그리고 ‘차가운 마음’이라는 두 명제에 속하는 처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며 많은 이들로부터 효심이라는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한국적 정서 중 ‘효(孝)’를 광고 전략으로 삼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상품을 인지시키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다시 한 번 한국적 정서를 일깨운 광고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정(情)과 효(孝)에 나타난 광고는 변화해가는 사회, 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한국적 전통문화와 정서를 유지시켜 주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동시에 사회적기여 측면에서 문화 창조로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광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는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객체주의 성향을 지닌 핵가족의 문화생활을 형성해 나가면서 남녀노소 함께 어우러져서 흥을 돋구던 고대부락국가의 놀이문화가 근세에 내려오면서 더더욱 서로가 담을 쌓게 되었다. 지금의 놀이문화는 또래놀이, 세대놀이의 성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가족이라는 구성원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인 성향으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이 요즘의 놀이문화의 특징이라 하겠다. 화투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놀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가 무심코 즐기고 있는 화투의 내용에는 일본에서 만든 그림으로 되어있으며 아쉬운 내력을 지니고 있다. 이제는 우리가 즐기고 있는 화투의 소재와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재개발의 필요성을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 겱과 많은 사람들이 화투디자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 한국적 화투디자인 소재로서는 관습적 의례가 매년 거듭되는 전승행사인 세시풍속이 가장 적합하다고 선정되었다. 한국적 화투디자인 소재개발을 탐구하기 위해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12달의 화투 디자인 소재를 정리하였다. 1월]새배 2월]윷놀이 3월]한식 4월]연등회 5월]단오 6월]농악 7월]뱃놀이 8월]한가위 9월]국화전 10월]개천절 11월]동지 12월]복조리 한국고유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한국적 화투디자인이 개선되어 우리국민에게 홍보되고 즐긴다면 우리만의 고유한 카드놀이로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말해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통해 우리의 것을 찾아 우리 만족의 긍지와 자부심, 주체성을 확립하여 올바른 놀이문화로 정착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