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model(BM) innovation is widely known as a differentiated strategy and strategic framework for companies to secur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an uncertain environment. While prior research has studied new business model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manufacturing trends such as digitalization and servitization,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processes of BM innovation is still lacking.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proposing an analytical framework of the BM innovation matrix that classifies companies' BM innovation case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M change and the influential level of the industry/market outcome through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on business models and dynamics. Drawing on this framework, we conduct longitudinal case studies of leading global 3D printing firms to examine the dynamic process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shape the evolution of BM innovation. Our findings reveal previously underexplored patterns of co-evolution between firms’ business models and their broader industrial and market environment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dynamically analyzing BM innovation based on longitudinal case studies of emerging 3D printing companies. We presented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the strategic usefulness of the BM innovation framework and the importance of co-evolution with industri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hange.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 속에서 대외개방은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기업들에게 기회 혹은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대외개방에 대한 경영자들의 인식은 향후 중소기업의 대외개방에 대한 대응 방안과 전략을 결정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종류의 전략과 관련된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대외개방을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이 관계가 중소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 전략과 시장 진입 전략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였다. 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차별화 전략을 위한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대외개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외부 지식 탐색의 폭과 깊이로 인한 조절효과는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시장 최초 진입 전략으로 인한 조절효과는 양의 방향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