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동해 해류도의 통일이 최근에 완성됨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도 제작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과학 논문과 2014년 현행 교과서의 해류도들을 분석하여 향후 황해와 동중국해의 통일된 해류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교과서와 과학 논문의 아날로그 해류도들을 수치화하여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고 해류도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쿠로시오해류, 대만난류,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연안류, 한국연안류, 양쯔강 유출류와 같이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들을 선정하고 정의하였다. 이 해류들의 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18개의 세부 항목을 만들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교과서와 과학 논문 해류도들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해류도들은 과학 논문으로부터 획득한 해류에 관한 최근의 지식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해와 동중국해 해류는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해류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의를 통하여 교과서 해류도를 적어도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6,700원
        2.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pulation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mid 1970s. Several management measures have been introduced to conserve it, but population size remains low. To rebuild this population, it is now necessary to consider mor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based on the stock assessment. To determine long-term population changes, fishery and biological data collected over 34 years (1969-2002) were analysed. Yearly fish length compositions were analysed for the time periods 1968 through 1970, 1978 through 1982, and 1993 through 2002; and catch data was available from 1969 to 2002. Annual population sizes were calculated based on length compos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and total landings. Analyses showed that since the 1970s, average size of harvested fish decreased; the proportion of less mature fish (smaller than the 50% maturity length, 19cm) in catches has increased and the estimated biomas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nsequently, the main management recommendation is that juvenile fish need to be better protected to allow the rebuilding of resources to a more sustainable population level. This will require fish size limit, permissible mesh size, and closed area and season regulations.
        4,600원
        3.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 동중국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업생물 자원의 평가 및 그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시도로서, 1997 년도에 부경대학교와 일본 장기대학이 공동으로 실시한 어업자원조사중에서 주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황해, 동중국해에 설정한 9개의 조사정점에서 저층트롤에 의한 어획량은 7.7~182.48 kg/hour이었고, 그때 어획된 어종수는 7~34 종이었다. 2. 1997년 5월에 동중국해에 있어서의 어군의 분포는 황해 중부의 저층 냉수역과 동중국해 중앙해역의 저층 고온수역, 또 쿠로시오계의 난류와 황해 냉수 및 대륙 연안수의 사이에 형성된 제주도 남부의 전선역에서 그 어군도가 매우 높았다. 3. 황해, 동중국해의 조사대상해역의 전수층부와 저층부에 대한 어군의 평균 체적산란강도는 각각 -74.57 ㏈, -68.24 ㏈로서 저층부가 전수층부에 비해 5.67 ㏈ 더 높았다. 4. 본 연구의 조사대상해역에 대한 어군의 분포밀도를 추정한 결과, 전수층에 대해서는 6.65×10-5 kg/㎥이었고, 저층부에 있어서는 2.86×10-4 kg/㎥이었다.
        4,000원
        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