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adsorption of organic matter mainly COD from pretreated landfill leachate of Lamdeng Khunou Solid Waste Management Plant, Manipur, India through the employment of H3PO4 treated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Parkia speciosa (Petai) pods (PPAC). The adsorbent was analyzed for morphological and surface characterization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AX), Brunauer–Emmett–Teller (BET) surface area and pH at zero point charges ( pHZPC). The impacts of adsorption processes such as initial pH, temperature, equilibrium time and dose of adsorbent were conside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PAC. At 20 °C, PPAC showed maximum COD removal of 93% within 90 min contact time, at optimum pH 2. Adsorption kinetic was able to explain by Lagergren’s pseudo-second-order equation and intraparticular diffusion models suggesting the combined behavior of both the physical and chemical adsorption of COD on PPAC. Through thermodynamics and isotherm studies, the adsorption of COD on PPAC is revealed to be exothermic with maximum monolayer coverage of 200 mg COD/g PPAC. The performance of the PPAC adsorbent is also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reported adsorbents for treating leachate.
본 논문은 이론과 실기 교육, 학계와 산업계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게임 교과목 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4PBL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PBL 모델은 학습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3P 모델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방법론을 보강, 발전시킨 모델로 개인지(Personal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실행기반학습(Performance based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게임 교과목 교육 사례를 들어 각 단계별 PBL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게임 기획과 개발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양성자핵반응에 대한 연구는 현재 핵융합로의 재료 개발을 비롯하여 양성자치료 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100 MeV 양성자 빔을 이용한 27Al(p,3p+n)24Na 반응을 통하여 발생되는 지발 감마선(2754, 1386 keV) 스펙트럼을 고순도 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되어진 양성자 빔은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KOMAC)에 설치되어 있는 100 MeV 양성자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감마선은 기존에 알려진 결과들과 비교분석하였다. 측정된 감마선의 강도는 고에너지 감마선 검출효율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도를 제공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