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co-linearity in the Triticeae, comparative RFLP analysis of 2M chromosome of Ae. comosa Sibth et Sm. was performed with 2MS and 2M additional lines of Triticum aestivum L. cv. Chinese Spring. Among the wheat RFLP probes conserved in the short arms of wheat chromosome 2, those above psr912 were located on the long arms of 2M in Aegilops comosa. The rest probes on the short arm and all the probe sequences on the long arm of group 2 chromosome in wheat were conserved on the equivalent chromosomal position in Aegilops comosa. So, it is apparent that some chromosomal segment from the short arm had been transferred to long arm while reconstructing 2M chromosome relative to wheat chromosomes. The break-point was located between psr912 and psr131 of the short arm. This rearrangement of chromosome 2M might be a molecular evidence of the M genome speciation from an ancestral type.
        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 게놈형간의 근연관계 및 배수체종의 게놈분석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Aegilops 19종 및 재배밀(T. aestivum)을 공시하여 AFLP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FLPs를 이용한 Aegilops종들간 근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7개의 primer 조합에서 총 207개의 다형 band를 조사하였으며 조합당 평균 다형 band수는 29.8개 이었다. 2. 각 게놈간 유연관계로 보아 Ae. heldreichii (Mh ) 는 Ae. comosa (M)와 Ae. uniaristate(N)의 중간위치의 게놈으로 나타났고, UM게놈을 가진 4배체종의 M게놈 공여종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Ae. squarrosa는 재배밀의 D게놈 공여종임을 확인하였다. 3. 6배체성 Ae. triaristate(UMN)는 4배체성 Ae. triaristate(UM)보다는 Ae. columnaris(UM)와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e. ventricosa(DN)은 U게놈이 N게놈보다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4. AFLPs에 의한 군집형성은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기본적으로 Gihara의 Section군과 일치하였고, 다양성분석, 게놈분석 등에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