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CM, 2:1, v/v) extracts from onion (Allium cepa L.) peels were studied. The IC50 values of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70% ethanol extract were remained to be lowest followed by 70% methanol extract and CM extract. And the total phenol content (113.56±0.86 mg CAE/g), total flavonoid content (49.63 mg QE/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value were also found to be the highest. In contrast, 70% methanol extract possess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by β-carotene bleaching assay. CM extract display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Onion peels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abundant phytochemicals, which could be used in a various food products to add phytochemicals and promote good health.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의 수율이 13.21%로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 열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80.24%로 환류냉각추출이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CE 저해 효과는 27.05%로 저온고압추출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가압가열추출이 33.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류냉각추출이 32.4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rrous ionchelating 효과에서는 저온고압추출이 54.73%로 가장 높은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추출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