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 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oC,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버섯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 기 위해용 용 흰가시광대버섯(A. virgineoides)의 정점조사지역 내 발생양상과 기온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버섯발생전 60일간의 기온변화는 조사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발생전 20일간의 기온분포는 발생여부와 조사지역에 따라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흰가시광대버섯은 활물 공생균으로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등과 같은 기상환경뿐만 아니라, 식물분포, 토양미생물, 토양유기물 등 다양한 환경요인이 자실체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변화 양상만을 분석한 결과, 흰가시광대버섯의 발생과 기온과의 관련성은 조사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흰가시광대버섯의 재배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식물상과 토양환경에 대한 정밀한 조사분석을 통해 자실체발생을 좌우하는 요인의 구명이 필요하다.
        3,000원
        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 of natural products, often recogniz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s, represent therapeutic modalities to reduce or prevent uncontrolled oxidation processes which in turn potentially ameliorate or tumor based symptoms of chronic diseases. We have studied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of Amanita muscaria (A. muscaria) in vitro and examined whether the A. muscaria has synergistic effects on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 Although A. muscaria induc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y, the latter has a consistently higher antioxidant effect. In mouse monocytes, the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tumor necrosis- (TNF-) synthesi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A. muscaria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synergistic effects were clearly demonstrated with the A. muscaria on TNF- inhibition. A. muscaria effect was also evident on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activity, cyclooxygenase-II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mouse monocytes. This presented results may be a starting point for a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effects of A. muscaria.
        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manita Pers. is a well-known monophyletic mushroom genus with a broad distribution. The genus comprises about 500 named taxa and contains deadly poisonous species, e.g. A. virosa and A. phalloides. Nonetheless, the diversity of Korean Amanita species has been underestimated. At present ca. 50 species of genus Amanita have been reported and distributed in Korea. It caused mainly three problems: 1) identification is not clarify because of the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nly; 2) poor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 species; 3) absence of evidence specimens in many case of the recorded Korean Amanita species. For these reasons,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ablish the accurat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Korean Amanita species. Macro-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determined based on structures of basidiomata (universal veil on the pileus, partial veil, volva etc.), field notes and color photos of basidiocarps.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basidiospores, basidia, composition of volval remnants on pileus and stipe base etc.) were obtained from the dried specimens after sectioning and rehydration using optical microscope. For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four gene regions(nrITS, nrLSU, rpb2 and tef1) were sequenced from Korean Amanita species. Among the sequenced specimens, I selected 80 specimens (which were successfully sequenced as ITS, nLSU, rpb2 and tef1) to generate the outline of Amanita phylogeny including 2 subgenera and 7 sections for determination of exact phylogenetic positions and comparison between related species. As a result of 11 data sets of each subgenus and complexes, 68 species were represented including new to Korea and candidates of new to sciences. The protein coding genes were helpful to determine the grouping within a related species and/or complex groups rather than rDNA sequences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