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강의 동영상 학습에서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분량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형태대학교 교육학 전공 1학년 167명으로 이들에게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과 적은 동영상을 학습하게 한 후,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정보인지 유형과 정보입력 유형으로 구분하여 집단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만 족도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인지 스타일 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미지 분량이 많은 강의 동영상은 직관형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를 높였다. 셋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입력 스타일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atellite images in detecting the areas of rice production in the Barisal of Bangladesh.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crop produ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ice production area and production statistics with climate data at multi-temporal time scale. This analysis found that the classification of rice fields extracted through satellite image and made as the number of rice cultivation areas did not exceed 10 percent of the statistical data. Climat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stage has the greatest impact on Boro’s production. It would be more make sense if you can describe the results of how precipitation is also important for rice production in addition to temperatur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key basis for solving food security issues due to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