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예이츠의 아니마와 모드 곤의 아니무스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쳐 그의 시에서 표출되는지 를 고찰한다. 시인은 모드 곤과의 관계에서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조화롭게 결합된 이 상적 남녀관계를 갈구했지만, 다른 남성을 향한 아니무스 투사로 인한 그녀의 무관심 과 냉대, 다른 여성을 향한 시인의 아니마 투사의 방해 등으로 현실에서 그 꿈을 좌 절당했다. 시인은 이러한 힘든 과정을 극복하고 내면에 존재하는 집단무의식의 여러 가지 원형들과 조화로운 의식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자아를 실현하고 존재의 통일이라 는 철학적 개념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주제어: 예이츠, 모드 곤, 아니마, 아니무스, 자아발견, 존재의 통일 저자: 한학선은 경남대학교 교양육합대학 교양영어교육부의 교수이다.
        6,600원
        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목적은 모차르트의 오페라 《티토 황제의 자비》(La clemenza di Tito, KV. 621, 1791)에서 세스토와 비텔리아가 가사로는 못다 한 이야기를 음악으로 어떻게 풀어내는 지 ‘음악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두 남녀 주인공의 ‘론도’(rondò) 아리아 두 곡으로, 18세기 오페라에서 등장인물의 심리 상태를 가장 강렬하게 드러내는 아리아 유형 으로 알려진 론도 아리아가 모차르트에 의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극적 의미를 고 찰한다. 본 연구의 논지는 크게 세 가지이다. (1) 대본가 마촐라(Caterino Mazzolà)에 의해 재탄생한 세스토와 비텔리아의 심리 상태는 원작자인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의 그 것과는 유의미하게 다르며, (2) 모차르트는 이 변용(transfigurations)에 주목하여 대본·원작 과는 또 다른 이야기를 풀어간다. 이에 대한 근거는 모차르트의 음악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특히 두 론도 아리아의 형식 분석을 통해 가사와 음악의 괴리가 빚어내는 또 하나의 드라마 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 음악을 통해 드러나는 세스토와 비텔리아의 내면의 소리 를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이 소개한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의 개 념을 적용하여 읽어 내고, 이러한 접근법이 오페라 분석·연출·감상에 제시하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