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족관절 염좌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전하경비인대(AITFL)와 전거비인대(ATFL)를 관찰하기 위한 사방향 관상면(oblique coronal plane) 2D FSE 영상과 Isotropic 3D FSE Cube 영상의 비교를 통하여 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족관절 염좌를 주 호소로 본 기관을 내원한 환자 15명(남자: 6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사방향 관상면 2D FSE 기법과 시상면 3D FSE Cube 영상기법을 이용하여 AITFL과 ATFL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에서 AITFL과 ATFL, 골조직, 배경신호의 SI 및 CNR을 측정하고, Mann-Whitney U-검정으로 두 기법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였다. 또한 영상의학의 2명이 각각의 영상에서 보여지는 AITFL과 ATFL의 형태 및 연속성, 부분용적에 의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정도의 3가지 항목을 4점 척도(0: 진단불가-Non diagnostic, 1: 부족함-Poor, 2: 적합함-Adequate, 3: 좋음-Good)로 평가하고, 평가결과 간의 일치도 검증을 위하여 Kappa-value(SPSS 19) 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 p<0.05)을 검증하여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영상획득에 사용된 장비는 3.0T MR 장비와 Extremity RF Coil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에서 CNR의 평균값은 AITFL의 경우 사방향 관상면 2D FSE영상에서는 10.72±0.01, 3D FSE Cube 영상에서는 18.66±0.52이었다. ATFL의 경우에는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에서는 5.62±0.98, 3D FSE Cube 영상에서는 8.15±0.65이었다. AITFL과 ATFL 모두 3D FSE Cube 영상에서 CNR 값이 높았으며, 두 영상기법 간의 CNR 값의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정성적 평가에서 관찰자 1에 의한 AITFL의 형태 및 연속성, 부분용적에 의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정도의 평가결과는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의 경우 2.4±0.5, 2.5±0.5, 2.6±0.5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고, 3D FSE Cube 영상에서는 2.8±0.3, 2.9±0.2, 2.9±0.2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다. ATFL의 경우는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에서 2.5±0.5, 2.3±0.4, 2.5±0.5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고, 3D FSE Cube 영상에서는 2.8±0.4, 2.9±0.2, 2.9±0.2의 값을 나타냈다. 관찰자 2에 의한 AITFL의 형태 및 연속성, 부분용적에 의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정도의 평가결과는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의 경우 2.4±0.5, 2.3±0.8, 2.6±0.4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고, 3D FSE Cube 영상에서는 2.8±0.3, 2.8±0.3, 2.8±0.3의 값을 나타냈다. ATFL의 경우는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에서 2.8±0.4, 2.4±0.5, 2.8±0.5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고, 3D FSE Cube 영상에서는 2.9±0.2, 2.9±0.2, 2.9±0.2의 순으로 값을 나타냈다. AITFL과 ATFL 모두 3D FSE Cube 영상에서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두 관찰자 간 평가결과의 일치도 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 론 : 족관절 염좌 환자에서 3D FSE Cube 영상이 사방향 관상면 2D FSE 영상에 비해 AITFL과 ATFL의 손상 감별 및 기타 인대손상의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800원
        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급성기 발목염좌 환자의 진단에 임상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내.외반 스트레스 검사(ankle stress-varus, valgus) 및 전방 당김 검사(anterior-draw)와 MRI 검사에 의한 연부 조직과 근육, 인대의 질환이 진단가치가 높다라 는 관점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다. 진단적 가치에 대한 부분의 차이점은 적으나 MRI 검사의 경우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 큰 만큼 두 가지의 대표적 검사를 비교 하여 (특정 병원의 환자 그룹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단순방사선 검사에 의 한 족근골 질환의 진단이 MRI 검사에 비하여 유용성과 효율성이 낮지 않다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