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OA)는 신장독성, 최기형성, 발암성 및 면역독성을 나타내며, 식품, 곡류 및 정육 등에 잔류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된장, 간장등 발효식품에서도 OA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O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A의 전반적인 위해성 평가의 일환으로 OA의 독성 표적장기인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신장독성 감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장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상물질로는 1) 기존에 독성감소 물질로 알려진 phenylalanine(Phe), 2) phenylalanine과 aspartic acid로 구성된 감미료인 아스파탐(Asp), 3) 녹차의 성분이며 free radical scavenger 및 antioxidant 작용이 있는 polyphenol(PP), 4) 최근 수명연장 효과가 있고 특히 신장질환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aloe 추출물(AE)을 선택하였다. 신장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OA를 2.0 ㎎/㎏의 용량으로 2주간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Phe(40 ㎎/㎏, i.p.)과 Asp(25 ㎎/㎏, p.o.)은 OA(2.0 ㎎/㎏, p.o.)와 병용투여하였으며, PP(200 ㎎/㎏, p.o.)는 OA 투여 2주전부터, AE(50 ㎎/㎏, i.v.)은 3일전부터 전처리하여 OA(2.0 ㎎/㎏, p.o.)와 2주간 병용투여하였다 신장독성의 확인은 혈청중 BUN, creatinine치 및 뇨중 γ-glutamyltranspeptidase와 N-acetyl-β-D-glucosarn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신장에 대한 조직병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OA를 2주간 2.0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신장독성이 유발되었으며, 독성 감소물질로 사용한 4개의 화합물 모두 혈액 및 뇨중 신장독성 지표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OA에 의하여 신장의 근위세뇨관에 변성이 유발되었으며, 4개의 화합물 처리군에서는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he, Asp, PP및 An는 모두 OA에 의한 신장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OA에 의한 신장독성 유발에는 Phe에 대한 경쟁작용 및 free radical생성이 관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