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대근육 운동척도를 한국판(Korean-Bayley-Ⅲ; K-Bayley-Ⅲ)으로 타당화하기 위하여 문항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16일에서 42개월 15일의 영유아 1,764명으로, 지역 및 성별, 모의 학력에 따라서 층화 표집되었다. 문항분석을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 분석과 고전검사이론을 통한 문항 통과율을 분석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분신뢰도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살펴보았으며, 상호상관검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 총 72개의 문항은 원척도와 유사하게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비교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문항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평정자간 일치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타당도 검증 결과, 대근육 운동척도는 운동척도와는 높은 상호상관을 보인 반면 언어척도와는 중간 정도의 상호상관을 보여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가 한국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을 평가하는데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5,100원
        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발달지연 아동들에게 Capute와 Bayley 발달검사를 실시하여 뇌성마비 감별에 이들 지수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이들 검사 중에 뇌성마비를 가장 잘 감별할 수 있는 발달검사 척도를 찾아 뇌성마비 아동을 조기에 진단하고 재활중재와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천안시 소재 모대학교 재활의학과에 발달지연으로 내원한 아동 중 검사시 연령이 48개월까지의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Capute 발달검사인 언어지수(CLAMS), 인지적응검사(CAT), 혼합발달지수(CAT/CLAMS)와 Bayley 발달검사인 정신발달지수(MDI), 운동발달지수(PDI), 행동평가척도(BRS)를 검사하였고,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MDI-PDI)를 계산하였다. 결과 : 1. 발달지연아 총 250명중에서 뇌성마비군이 86명(34.4%)으로 감별되었고 전반적 발달지연군은 164명(65.6%)이었다.2. 재태기간이 37주 미만군에서 뇌성마비아가 41.7%로 37주 이상군의 2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3. 뇌성마비군과 전반적 발달지연군에서의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평균 점수의 차이는 Capute 발달검사인 인지적응검사지수와 혼합발달지수에서는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 중 운동발달지수와 행동평가척도도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였고(각각, p<0.001, p<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는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01).4. Capute 발달검사의 각 지수별 뇌성마비 감별기준 점수로 80미만으로 하였을 때 인지적응검사지수, 혼합발달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인 운동발달지수, 행동발달척도,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와의 차이의 감별기준 점수를 각각 85미만, 25미만, 13이상으로 하였을 때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 p<0.05, p<0.001).5.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각 지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6. 뇌성마비 감별에 영향을 주는 예측 모형을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운동발달지수(Odds Ratio; OR=14.559, p<0.001)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재태기간(OR=3.080, p<0.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OR=2.678, p<0.01)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25.1%였다. 결론 : 발달지연 아동 중 뇌성마비아를 조기에 감별할 때에 Bayley 발달검사의 운동발달지수가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도 고려하는 것이 뇌성마비아 감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900원
        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growth parameters,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chlorophyll content as well as the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young barley seedling (YBS) affected by elicitation. Salicylic acid (SA), methyl jasmonate (MJ),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ALF) and microbial metabolism activator (MMA) were used. Elicitation was conducted for two times and various concentr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 revealed that, MJ 1 ml/L treated-YBS gave the longest seedling length of 1.33 cm, followed by the ones treated with SA 1.38 mg/L and ALF 2 ml/L, respectively. ALF 3 ml/L treatment gave the highest fresh weight of 10 seedlings, followed by MJ 5 ml/L and SA 13.8 mg/L treatment with 1.56 g, 1.55 g and 1.53 g respectively. SA 138.12 mg/L elicitor treated-YBS gave the highest Chl a, Chl b content of 8.57 μg/mg and 3.83 μg/mg, respectively while the highest carotenoid content was found in MJ ml/L treatment with 1.62 μg/mg. Among elicitor treated-YBS, SA showed better TPC. The highest TPC was found in SA 1.38 mg/L treatment with 18.82 mg/g TAE. Likewise, SA 1.38 mg/L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all the treatments. However, the lowest TPC was found in ALF 1ml/L treated-YBS with 9.46 mg/g TAE, which was even lower than the control (14.31 mg/g 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