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4,200원
        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bridge have been built by government over the several years. Additionally, there are too many mountain and river and the bridge have been built in rural area. But bridge designers weren't considering the bridge landscape. And bridge was a negative factor in regional landscape. Because of this, this study surveyed the landscape preferences of rural bridge landscapes according to different bridge ty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nd this research include conducting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bridge's type and background. And, the landscape of arch bridge in the river 1 is landscape of the highest preference. The the landscape of girder bridge in the river 2 is landscape of the lowest preference. In the river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arch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the mountain 1 and 2 landscape, high preference is observed in the cable-stayed bridge and low preference is noted in the girder bridge. In conclusion,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depend on the background and bridge shape, the study said. Therefore, when bridge designer design the bridge, designer have to choose proper bridge shap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in bridge landscape of rural area but th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 according to the various background.
        3.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
        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장교의 조망결정요소별 최적 조망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교량의 3D Simulation을 제작하고 실험조건에 따라 선호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교량의 조망결정요소에 따른 경관평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최적 조망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망조건별 변화인식범위선정을 통해 시점이동에 의해 사장교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범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평각은 5°, 시선입사각은 4°, 시점높이는 교량전체 높이의 10%로 변화시켰을 경우 사장교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장교와 가장 잘 어울리는 주변경관을 선정하기 위한 선호도 분석결과 도시경관유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망결정요소별 최적의 조망조건 선정결과 수평각에 경우 55°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시선입사각에 경우 20°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시점높이의 경우 8/10H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교량의 조망조건에 따른 경관미의 고려는 교량경관계획 시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교량의 조망에 따른 경관미보다 형태미에 치우친 교량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교량경관계획 시 조망의 중요성을 재평가하고, 조망조건에 따른 교량평가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교량경관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