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epitrimerus vitis (Nalepa) is a grapevine pest and distributed worldwi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grapevine damage related to density of C. viti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control time. The damaged flower buds displayed retarded growth and became dried up, and symptoms of damaged leaves such as malformed and bronzed leaves were observed. Flower cluster and leaves were collected and density of the grape rust mite were observed by using a washing and sieving method. The highest mean density (±SE) of C. vitis was found to be 672.6±112.9 per flower cluster with mid-level damage, and 450.1±66.5 per 2 leaves was found on the damaged leaves. These severe damage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early spring, and the density of the grape rust mite was significantly higher as 80 times in damaged vineyard than in the undamaged at the early growth stages of the grapevine. To determine the emergence time of the grape rust mite from lower part of a winter bud the ratio of density of C. vitis on upper-bud to lower-bud was observed. On 13 April 2015, 80% of the grape rust mites were observed on upper-bud where the mite could feed at the bud burst stage. Therefore, once the symptoms of damaged flower clusters and leaves are observed, acaricides should be sprayed before inflorescence emergence, and at the early growth stage between bud burst and leaf development in following year. This would allow the decrease of the density of C. vitis in early spring, and the progression of severe damage could be prevented.
포도녹응애는(Calepitrimerus vitis (Nalepa) (Acari: Eriophyidae)) 포도를 재배 하는 미국의 북서부, 유럽, 남아프리카 등에서 잎 말림 현상 및 잎과 가지의 생육지 연을 유발하여 문제시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경기도 화성 시에서 처음으로 발생이 보고되었으나, 발생 소장 및 분포에 대한 정밀한 조사는 이 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2지역(Site1, Site2)과 송산면 1지역(Site3)에 위치한 시설 포도원에서 포도녹응애의 월동 여부 및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의 면적을 5구획으로 나누고, 각 구획에서 6개의 가지를 무작위로 채집하였다. 가지에서 겨울눈을 절단한 후 실체현미경을 통해 월동 여부 를 확인하였으며, 개체수 계수를 위해‘washing and sieving’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ite1, Site2 두 농가에서 포도녹응애가 발견되었으며, 겨울눈의 껍질 밑에 무 리 지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washing and sieving’ 분석 결과 Site1 포도원에서 평균 7871±635(No. of individuals/6 winter buds)개체로 다른 발생 농가에 비해 상 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지로부터 눈의 거리와 포도녹응애의 밀 도는 비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y=1311.3x + 3659.3, R2= 0.6931). 이 해충은 이른 봄에 활동을 시작하여 생육 초기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월동시 기 발생소장 조사를 통해 포도녹응애의 봄철 초기 발생을 예측하고 피해를 방제하 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