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민자 밀집 지역 직접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과 진로 계획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과 2025년, 두 차례에 걸쳐 ‘다문화사회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26명의 연구 참여자와 안산시 원곡동을 방문하고 조사 연구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회적인 직접 접촉만으로도 이민자에 대한 인식 과 태도에 변화가 촉발되며, 둘째, 현장 접촉 이후에 다문화사회 전문가 의 역할에 대해 실제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진로 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표본이 많지 않아 결과를 일반화하기 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이민·다문화 현장실습’이 필수적으로 운영되지 않 는 현재의 상황에서 현장 접촉은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 현장에서 일하고자 하는 이들에 게 현장 접촉 기회를 확대하고,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가상 공간 활용 및 온라인 교육과정 구축 등을 통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워나 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진로 계획 프로그램이 음악 전공 대학생의 취업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는 산둥성 Q 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실행하는 진로 계획 프로그램을 사례로 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은 인터뷰, 현장 관찰 그리고 관련문헌 수집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Glaser의 지속 비교 분석법을 사 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로 계획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직업 계획을 효과적으로 세우도록 도움을 주 었다. 이는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의식을 분명하게 확립하고 시야를 넓힐 뿐만 아니라,학생들이 이성적 숙고에 따라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개인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직업 선택과 입사 준 비 그리고 취업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의 직업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있 어 진로 계획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진로 계획 프 로그램이 학생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운 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