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인천광역시 소재 보육교사 313명을 SPSS와 AMOS V.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평균 4.10점, 직무스트레스 평균 2.90점, 이직의도 평균 2.81점, 자아탄력성 평균 3.63점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전문성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인 부분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실습 시 지도교사의 지지에 대하여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예비조사로 보육관련학과 전공 3학년에 재학 중인 6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focus group) 면담을 하였고, 그 중에서 6명을 선별하여 2회에 걸쳐 보육실습 기간 중 보육실 습 지도교사로부터의 지지받았던 경험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적 지지] 주제에서는 <모델링으로서의 지지>, <상담가로서의 지지>, <협력자로서의 지지>를 받은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지지] 주제에서는 <정서적 지지>, <공감적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에게 명확한 피드백과 보다 성공적인 보육교사 양성을 하기 위해서는, 보육실습지도 메뉴얼에 보육실습교사의 기술적인 역량 뿐 아니라 보육실습생을 지지하는 것 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하며,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지지에 관한 연구개발과 체계적인 프 로그램의 지원 및 보급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생에 대한 지지의 중요성을 조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J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27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해서 다중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보육의 주체인 보육교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동일시하고 자신의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조직몰입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 자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In most child-care facilities, homeroom teachers take the responsibilities for safety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in class hours on a regular basis. It was found that most homeroom teachers are lacking in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raining experience they get. Teachers with fewer teaching careers had a greater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homeroom teachers have been utilizing monthly toddler magazines as a method to acquire knowledges for safety education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The safety accidents which have most frequently occurred in care-care facilities turned out to be stumble and tear, and infants aged 3 years or younger were found to be easily exposed to the safety accidents mainly due to the frolic between peers during the free-choice activity time. The homeroom teachers recognized only traffic safety education among the range of safety training courses, which varied depending on teaching career such as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indoor/outdoor safety environment training, etc.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safety training methods were limited to the utilization of discussion techniques, role-playing, description and demon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