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전통의 계승과 보급은 인류 발전 과정에서 하나의 화두이자 주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와 과학의 발전에 따라 경관 역시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세계화 물결의 배경 아래에서 전통문화는 현대화의 전방위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에 조성된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초로 조성된 월화원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 한 경관이미지 특성을 도출하고, 경관이미지 특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월화원의 경관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는 심미성, 개방감, 특이성, 친근성, 전통성 등 총 5개의 인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다. 둘째, 전체 선호도 평균값은 4.64로 비교적 높게 나 타났으며, 전통재현경관요소와 자연적 경관요소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경관은 월화원 주요 선호경 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심미성이 월화원 경관이미지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현대 도시공간에 조성된 중국 전통재현정 원의 유지·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시에 중국 전통정원 조성 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경관계획을 수립 시 기초재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콩의 비중국어권 유치원생들은 중국어 학습 과정 중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개인적인 이유 외에도 교사와 학교 모두 자원, 교재, 경험 등의 부족으로 이들의 중국어 학습은 도전적 상황에 직면해있다. 최근 홍콩 평등기회위원회(香港平等機會委員會)는 중국어권 학습자와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통합교육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는데, 본래의 좋은 취지와는 다르게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점들이 제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홍콩 경마자선기금(香港賽馬會慈善基金)과 관련 협력 기관에서는 큰 규모의 연구를 기획하고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중국어권 유치원 교육을 지원하였다. 다양한 프 로그램 가운데, 본 연구는 언어 학습 이론과 효과적인 교육에 중점을 두고, 수업 현장 관찰, 수업 비디오 녹화, 교장과 교사 인터뷰, 학습자 언어 학습 평가와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중국어권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반에서 상위반까지의 언어학습 발달과정을 추적 하여 네 차례 언어학습 평가를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3년간의 언어 성적은 뚜렷한 성장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학습이론과 실제 교육법 사이에 분명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가 통합 정리한 10종의 언어학습이론은 홍콩의 중국어권 유아와 비중국어권 유아의 통합교육에 매우 적합했고,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여러 실제 사례들은 간단히 실행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많은 자원이 투입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도출해 내었다. 본 연구의 이론과 실제 성과가 학계 및 교육 실무자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tradition of the representative art style in the Sinosphere, Shanshui hua, expresses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the harmony and principle of the universe. This tradition is reflected in the Chinese garden. These Chinese gardens were precisely the three-dimension representations of Shanshui hua, a visual form of abstract expression of the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This research determines and draws attention to the vestiges of the reflection of Shanshui hua in the European gardens through visual art and culture. It will also approach the two subjects, Shanshui hua and garden, from a transcultural view to integrally analyze visual art. The appearance of Anglo-Chinese gardens, reflecting Shanshui hua, foreshowed a big change in traditional European gardens. This is a concrete example of the transcultural phenomenon. This has formed the typical naturally curved English gardens in the gardening history. This also divided these English gardens completely from the symmetrical, geometrical French gardens. This study considers the influence and the reverberation of Shanshui hua reflected on European gardens in the European culture. The cultural exchange of European and Chinese styles in the 18th century left an impact on the European gardening style histor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origin of these Anglo-Chinese gardens and its content to approach it with a transcultural view as a research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