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movable ankle-foot orthosis (RAFO)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gait of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stroke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signing a written consent form. To verify gait improvement after wearing the orthosis, a Timed Up and Go test and Functional Gait Assessment were performed, and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such as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double limb support, and the efficient gait test of body sway angle were performed. For every variable, the differences prior to and after wearing the RAFO were compar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Every gait variabl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wearing the RAFO compared to prior to wearing it. The pilot study will enhance future efforts to evaluate orthotic function objectively during gait in stroke patients.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heart rate (HR) and velocity measurements during peak effort and free treadmill walking tests in older patients with gait-impaired chronic hemiparetic stroke and control group. Twenty-two adults (13 men, 9 women; mean age, 73.7±5.2 yr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are the experimental group. Nineteen elderly people (5 men, 14 women; mean age, 72.3±3.5 yrs) were recruited as control group. Patients had mild to moderate chronic hemiparetic gait deficits, making handrail support necessary during treadmill walking. Free and peak effort treadmill walking tests were measured and then repeated at least two days l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from HR and walking velocity during free and peak effort treadmill walking test. Among the people who had strokes, HR [ICC(2,1)=.85, r=.86] and velocity [ICC(2,1)=.93, r=.93] were good parameters during free testing. Maximal testing generated good results for HR [ICC(2,1)=.81, r=.82] and velocity [ICC(2,1)=.96, r=.96] with the chronic hemiparetic stroke. In elderly people, HR [ICC(2,1)=.59, r=.62] and velocity [ICC(2,1)=.77, r=.76] were moderately reliable during free testing. Maximal testing produced moderate parameters for HR [ICC(2,1)=.74, r=.74] and velocity [ICC(2,1)=.66, r=.66] in the elderly. This study provides that free and maximal treadmill testing produce highly reliable HR and velocity measurements in adults with chronic hemiplegia using minimal handrail suppor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피부분절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강직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손기능 변화와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의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피신경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굽힘근의 피부분절에 20분간 고주파(100Hz)와 가시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저강도로 전기자극을 실시하였다. 측정 시기(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 간 손기능 검사는 Box and Block test로 사용하였고,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비는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 요인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 Box and Block test의 결과는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간의 동시수축 비는 측정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피부분절 전기자극 방법은 손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므로 향후 실시되는 연구에서는 피부분절 전기자극과 동시에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기능적인 과제 활동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Hemiplegic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difficulty maintaining balance. Balance retraining is the major component of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rp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Thirty subjects (mean age ) were recruit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proprioceptive group and a visual group. The subjects for the proprioceptive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for 4 weeks, and the visual group were treated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Balance Master. At 4 week follow-up test, Berg Balance Scale significantly improved 1.1 points (p<.01), Timed Up & Go test improved 4.2 second (p<.01), and weight distribution during sit to stand also improved 5.0% (p<.01).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oprioceptive control approach improved dynamic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It i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benefi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like as Balance Master when administrat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compared with physical therapy alone using proprioceptive control approach to hemiple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