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April, August, and October) from 2023 at five surveyed sites in Gonyangcheon estuarine wetland. A total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longing to 59 taxa 44 families 21 orders in 8 classes of 4 phyla were collected. The number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pecies in each surveyed site were from 10 (St.1) to 41 (St.2). As a community indices analysis, the average DI is 0.78 (±0.12), H' is 1.6 (±0.68), R′ is 0.96 (±0.39), and J´ is 0.61 (±0.24). Community indices tended to decrease as the diversity and abundance decreased downstream. Total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TESB), an average score of 35.47 (±15.86). The Habitat of Clithon retropictum and Ellobium chinense belonging to endangered species II, were identified at st.3~st.5.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특성과 계적적 변동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주도 조간대 지역에서 20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총 8회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조사지점 당 중형저서동물의 밀도는 733~2,505 inds. 10 cm-2였으며, 2017년 4월에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19년 2월에 가장 낮았다. 모든 조사지점에서 Nematode 가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pepod와 nauplius가 그 다음 우점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Nematods/Copepods ratio (N/C ratio)는 2017년 4월에 가장 낮은 값인 0.02, 2019년 2월에 가장 높은 값인 87.40으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조사지점의 건강성이 악화 되었음을 의미한다.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분석 결과는 제주 연안의 중형저서동물 군집구조는 지역적 차이보다는 계절적 변동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제주도의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특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군집조사와 환경 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이 후속 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500원
        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와 도입된 어종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9개 지점에서 2013년 9월에서 2014년 5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4과 36종 이었고,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1종이 출현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을 포함하여 9종으로 고유화빈도가 25.0% 이었다. 우점 종은 버들개(Rhynchocypris steindachneri, St. 1), 참갈겨니(Zacco koreanus, St. 2, 4, 5, 6),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 St. 3), 피라미(Zacco platypus, St. 7, 8), 황어(Tribolodon hakonensis, St. 9) 이었다. 한강수계에서 강릉남대천으로 도입된 어 종 은 새 미 , 돌 고 기 (Pungtungia herzi), 쉬 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긴 몰 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모 래 무 지 (Pseudogobio esocinus), 금 강 모 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피 라 미 , 참 갈 겨 니 , 새 코 미 꾸 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퉁 가 리 (Liobagrus andersoni), 꺽 지 (Coreoperca herzi) 11종 이 었 다 . 개 체 군 과 분 포 역 이 급 격 히 확 대 되 는 도 입 어 종 은 피 라 미 , 참 갈 겨 니 , 돌 고 기 , 긴 몰 개 등 이 었 으 며 정 착 되 어 안 정 적 인 개 체 군 을 형 성 하 였 으 며 서 식 지 가 급 격 히 확 대 되 지 않 은 어 종 은 새 미 , 쉬 리 , 버 들 개 등 이 었 다 . 정 착 하 였 으 나 개 체 군 이 매 우 적 은 어 종 은 꺽 지 와 퉁 가 리 이 었 다 . 1973년 에 비 해 개 체 수 구 성 비 가 3% 이 상 감 소 된 어 종 은 버 들 개 , 종 개 (Orthrias toni), 북 방 종 개 (Iksookimia pacifica), 은 어 (Plecoglossus altivelis), 가 시 고 기 , 꾹 저 구 (Gymnogobius urotaenia) 등 이 었 고 버 들 개 는 56.1%에 서 12.9%로 가 장 많 이 감 소 하 였 다 .
        4,200원
        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양호에 서식하는 어류와 도입어종의 서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8개 지점에서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2과 41종이었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어종은 어름치와 황쏘가리 2종 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줄납자루을 포함하여 15종으로 고유화빈도가 36.6%를 나타내었다. 2003년 이후 본 조사에서 새로 출현한 어종은 줄납자루, 참붕어, 중고기, 참중고기, 대륙종개, 대농갱이, 무지개송어, 배스 등 이었다. 우점종은 빙어(St. 1, 3, 6, 7, 8), 블루길(St. 2, 4), 피라미(St. 5) 등 이었다. 도입된 어종은 총 12종으로 국내 타수역에서 도입 방류한 어종은 뱀장어, 치리, 대농갱이, 빙어, 갈문망둑, 민물검정망둑 등 6종 이었고 국외에서 도입된 어종은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무지개송어, 찬넬동자개, 블루길, 배스 등 6종 이었다.
        4,000원
        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11월 착공되어 2011년 11월 준공된 낙동강 낙단보 구간의 상류와 하류 지점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8년간 연 4회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8년간의 자료를 보 설치 이전인 2007년부터 2009년, 공사 기간이었던 2010년부터 2011년, 준공 이후인 2012년부터 2014년의 3개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공사 이전에 비해 공사 이후에 전반적인 종수 및 개체수가 평균 51종 895inds. m-2에서 25종 84inds. m-2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이러한 감소 경향은 낙단보의 하류에 비해 상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분류군별로는 Trichoptera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낙단보 준공이후 우점도는 증가, 다양도 및 풍부도는 감소하였으며, 준공 직후인 2012년에 일시적으로 큰 변화를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준공 이후 GC와 P의 개체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서식기능군은 BU의 개체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준설에 의해 수변부의 경사도가 비교적 높아짐에 따른 저수심지대 면적 감소, 보 설치에 의한 유속 감소, 하상 구조 중 모래 비율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유속이 느린 수계에서 모래에 굴을 파고 서식하거나, 하상의 CPOM과 FPOM을 주워먹는 종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 준공이후 신규 이입된 종과 교란에 의해 영향을 받은 종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