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methodologies for spraying amount and sprayed condition of curing compound based on IoT technology when concrete pavements are constructed. METHODS : To measure the spraying amount of curing compound, a turbine type flowmeter was selected and a number of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elected sensor. To evaluate the uniformity of the sprayed curing compound on the concrete pavement surface, image process technologies were examined using pictures taken from the actual construction sites and from the test specimens. RESULTS : By performing experiments using water and curing compound, the selected flowmeter was verified to properly be applied to measure the spraying amount of curing compound with an acceptable accuracy. By conducting image processing using pictures of the sprayed curing compound on the concrete pavement surface, it was found that the 8 color analysis method was the best to evaluate the uniformity of the sprayed curing compound. CONCLUSIONS : From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spraying amount of curing compound could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a turbine type flowmeter and the uniformity of the sprayed curing compound on the concrete pavement surface could be properly evaluated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PURPOSES: This study is to suggest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based on the field tests. METHODS : At first field test, length from the entrance of tunnel to wet wall was checked by visual survey. The second and third test, various sensors were installed in concrete or in tunnel, such as RH sensor, temperature sensor, portable weather station and etc.. And also, test for bleeding and retaining water of concrete were conducted to evaluate environmental effect on concrete pavement. RESULTS: The result of the field experiment for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ndicates that length changes depending on tunnel length, season, and loc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hort tunnel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location near entrance and at center of tunnel. However, in case of a medium and long tunnel, effect of outside environmental condition decreased, when location moved into tunnel center of it. CONCLUSIONS: From the testing results, it can be proposed that optimum tunnel length to spray curing compound is 60m for a medium and long tunnel, and whole length for a short tunnel.
양생조건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GGBFS 혼입율 0%, 30%, 60%로 구분하고 W/B를 40%,50%,60%로, 양생조건을 기중양생과 수중양생으로 시험체를 제작하여 콘크리트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GGBF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는 감소하였지만, 양생조건에 따른 확산계수 편차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W/B가 증가할수록 그 차이는 증가하였으며. W/B 60% 조건에서 수중양생 대비 기중양생 시험체의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는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investigation of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reinforcing bars under laboratory temperature and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insulation curing method of Korean-Chinese concrete bubble sheet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bubble sheet curing method. As a result,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concrete on the wall part affects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to delay the temperature drop at the part where the bubble sheet is not laid
In this research, the investigation of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reinforcing bars under laboratory temperature and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insulation curing method of Korean-Chinese concrete bubble sheet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bubble sheet curing method. As a result,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concrete on the wall part affects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to delay the temperature drop at the part where the bubble sheet is not laid.
이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UHPC)와 보통 콘크리트 (NSC)간 계면부착강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UHPC를 보수⋅보강재 로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부착강도에 관한 연구와 달리, UHPC를 프리캐스트 합성부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여기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UHPC-NSC 계면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계면의 형상, 합성 전 UHPC의 경화 진행상태, 합성 전 UHPC의 수분 흡수상태, 그리고 합성 후 양생장소와 같이 크게 4가지 로 구분되었다. 계면의 형상을 변수로 한 실험에서는 형상에 따라 각기 다른 파괴모드가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거칠 게 처리한 UHPC 계면 일부가 파괴되는 새로운 파괴모드가 발견되었다. 합성 전 UHPC의 경화진행 상태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부착 파괴모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합성 전 UHPC의 수분상태가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UHPC의 양생방법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합성한 시편의 양생조건 역시 계면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공시품종으로 Burley 21과 KB101을 수확한 후 건조상내에서 온도 처리와 습도 3처리를 조합하여 엽분별로 건조하였고, 수확시기에 엽중수분함량이 다른 잎을 우기에 비닐건조실 내에서 건조하여 부패엽발생정도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패엽발생은 30℃ 에서 최대였고, 25℃ 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며, 35℃ 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여 40℃ 에서는 100% RH 조건에서도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2. 습도 82%구에서는 부패엽이 10%정도로 아주 적었으나 이보다 고습조건일 수록 급속하게 증가되었다. 3. KB 101 육성계통이 Burley 21보다 부패엽 발생이 약간 적은 경향이었다. 4. 부패엽발생 부위는 주로 잎 엮은 부위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확시 절단부위에서 않았다. 5. 엽분별로는 중엽에서 본엽에서 보다 부피엽발생율이 더 높았다. 6. 우기에 엽중수분함양이 높은 잎을 수확시는 부패엽발생이 않았고, 강우 4일 후의 수분상태 잎을 수확시는 거의 부패엽이 발생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