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록총채벌레는 제주도 감귤에서 경미한 피해만 보고되다가 2007년부터 다발생하여 그 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볼록총채벌레 각 발생세대의 발생최성기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볼록총채벌레 성충 발생세대수를 독립변수(x)로 취급하고 세대별 발생최성기의 적산온도를 종속변수(y)로 취급하여 직선 회귀식을 추정하였다. 감귤원에서 유살된 자료와 녹차 또는 키위과원에서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각각 감귤기반모형(y = 310.9x + 69.0, r2=0.99) 녹차기반모형(y = 285.7x + 84.1, r2=0.99)을 개발하였다. 각 모형의 예측값과 독립된 포장 실측자료와의 잔차자승합을 토대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녹차기반모형의 적합력이 좋았다. 본 예측모형을 통한 계산값과 실측치의 불일치에 대한 원인과 모형의 포장 활용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ttractiveness of the sex pheromone trap of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ée as a forecasting tool from 2006 to 2008 in Suwon, Gyeong-gi province and Seosa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sex pheromone lure was composed of Z11-18:Ald (55㎍): Z13-18:Ald (500㎍): Z11-18:OH (120㎍): Z13-18:OH (180㎍): Z13-18:Ac (55㎍) per a rubber septum, which set in a cylindrical cone trap. The trap catches of male moths was counted on a weekly basis and the lures were renewed every two weeks. The flight activity of C. medinalis moths monitored by the sex pheromone trap revealed two distinct peaks a year in both experimental areas from 2006 to 2008. Degree-days accumulation was calculated using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13.3℃) and degree-days (386.4DD) since adults had been first recorded. Estimated adult peak of the first generation was almost coincident with that observed by sex pheromone trap except in Suwon in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