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두 단계의 이민정책으로서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를 분석하 며, 그 사례로 부산시의 도입 및 운영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 제도는 지 역 인구 감소와 경제적 문제에 대응하여 외국인 인재를 특정 지역에 유 치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시가 서구, 동구, 영도구를 대상으로 추진한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 및 지역자치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책 집행상의 어려움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 비자 제도가 인 구 및 경제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이나, 정부 간 협력과 지 역적 역량 부족이 효과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 석을 바탕으로, 지역 자율성과 비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제안하며, 이는 한국 내 지역 맞춤형 이민정책의 발전에 중 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6,900원
        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motion strategies for revitalizing mountain eco-villages through social economic support.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operation conditions, income creation structures of 240 mountain eco-villages form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reviewed systems for social economic support. As summarized in research outpu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for joint projects had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due to the absence of supporting systems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eco-villages. In addition, 159 villages formed as experience villages could not be qualified for enterprise systems due to aging population and absence of network systems. As for income creation, as indicated by comparing net incomes for joint projects calcula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village management evaluation, the average net income of 51 highly-rated villages was 22 million Won and that of 128 moderately-rated villages was 3.5 million Won. Experience-based projects and the sales of processed forestry products made by young adult associations or women's societies were major sources of income, and the absence of inner economic bases or villages' jobs caused young adults and returned farmers to focus on working for outside economic activitie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strategies for mountain eco-village's social economic promotion and suggested four stages of social economic revitalization pro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