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evance of gender equality to the development process underscores the need for creating opportunities for girls and women to have access to all levels of education –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Women require formal education for self and national development. Since Nigeria has a significant population of girls and women, it is imperative that their education is given a pride of plac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ies that have been made to promote the education of girls and women at the three levels of education (basic, post-basic and tertiary) in Nigeria, and the situation of girl-child and women’s education in the country.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challenges confronting education of girls and women, such as high number of out-of-school children caused by child labor practices, early marriage and teenage pregnancy; inadequate female participation rates in higher education; etc. Some actions that could be taken to address the challenges are recommended. These include equalizing access to quality education, provision of welfare support for pupils/students,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school system, enforcing laws on compulsory school attendance at the basic education level, economic empowerment of women, and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among women.
이 글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제언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한국인과 재혼한 결혼 이주 여성이 동반 입국한 출신국 소생 자녀인 중도입국 청소년에 초점을 맞추었다. 결혼 이주 여성 중 재혼 여성의 비율에 따라 중도입국 청소년의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관련 통계 자료를 통해 그 규모를 추정해 보았으며 선행 조사 자료를 통해 중등 학령기나 그 이상의 청소년인 경우 학교 교육기회로부터 배제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면담 자료를 통해 이들의 가정 환경이나 교육적인 면에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아울러 학교나 대안학교 진입 경로를 파악해 보았으며, 이들의 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한국어와 학습 언어 습득, 또래관계에서의 보이지 않는 경계, 교사의 지지망 역할 부족으로 구분하여 드러내 보았다. 끝으로 교육기회 획득과 적응 실태를 단서로 교육기회의 보장과 적응을 위하여 학교 제도의 개선, 이들을 위한 지원 정책 등을 다각적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