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에 미치 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Y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 7명으로 2024년 4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3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검 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로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우울 척도, K-HTP 그림검사, PITR 그림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회기별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 인의 상실감과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질적 변화 과정을 살펴본 결과,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여 상실감과 우울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을 감소시키 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독거노인 또는 부정맥 환자의 24시간 응급감시 모니터링을 위해 광소자를 이용한 독거노인 위험감지형 맥박센서를 설계했다. 투과형의 광소자를 사용한 맥박 측정 센서는 상용 기술이지만, 이것은 의료 기관에서 환자나 환자 진료 모니터링을 위한 일회성 측정 방법이다.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무구속의 지속적인 측정이 가능한 센서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내구성과 편의성, 유동성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해야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우리는 손목시계 타입의 독거노인 위험감지형 맥박 센서를 설계하고, 실험 결과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