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에 미치 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Y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 7명으로 2024년 4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3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검 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로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우울 척도, K-HTP 그림검사, PITR 그림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회기별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 인의 상실감과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질적 변화 과정을 살펴본 결과,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여 상실감과 우울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을 감소시키 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deje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s living alone. 7 elders in City 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otal 13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from April 2024 to August 2024. And, a single-group pre and post-test were designed. The Korean Elderly Loss Scale, the Depression Scale, the K-HTP Test, and the PITR Test were used, and the each result was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deje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s living alone. Secondly, as the results of qualitative changes observation, they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upport through interaction, which led to positive changes in reducing deject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je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s living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