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점착트랩은 특정 광파장에 유인되는 곤충의 반응을 이용하여 비행 곤충의 유살 및 모니터링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색 점착트랩은 해당 색상에 반응을 보이는 모든 곤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비표적곤충(Non target insect)이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표적곤충은 부착면을 차지하여 표적곤충의 유인을 방해하며, 해충밀도 모니터링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 소요를 증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비표적 곤충과 이물질의 부착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내경 5mm, 10mm의 방지망을 설치하였을 때, 각 처리에 따른 유입 곤충의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하여 방지망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망을 처리하지 않은 트랩과 5mm, 10mm 방지망을 설치한 트랩 간 종다양성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포획된 총 종의 수는 망을 처리하지 않은 트랩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형 비표적 곤충의 포획수가 높은 것이 주 요인이었다. 표적 해충인 총채벌레, 가루이 등 미소해충의 유입 빈도 또한 무처리, 5mm, 10mm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지망의 설치가 표적곤충인 미소해충의 유입에 악영향이 없으며, 5mm 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험목적 한국에서 개발되어 한국, 북한, 중국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복토직파기술은 2006년 중국에 최초로 4개성(강소, 안후이, 상하이, 녕하회족자치구)에 도입하여 농가현장실증시험을 한 결과 그 효과가 입증이 되어 2년차인 2007년도에는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및 9개성(사천, 안후이, 호북, 절강, 상하이, 강소, 요녕, 녕하, 흑룡강)에 각각 도입하여 농가 현장실증시험을 통한 안정적인 벼 직파재배기술확립으로 획기적인 쌀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향상을 구명하고자 함. 재료 및 방법 ○ 시험 장소 - 중국국립벼연구소(CNRRI, 중국 항조우) ○ 시험방법 - 포장시험 o 품종 : 浙粳22(일반벼), 甬亻尤 1호(교잡벼-Hybrid) o 파종량 : 2.25kg/10a, 3.0kg/10a, 3.75kg/10a 실험결과 ○ 규산질비료 복토에 따른 성묘율은 무처리 60%에 비하여 山東규산질비료처리구에서는 80%내외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수장, 영화수가 각각 증대되었다. ○ 수량성은 손 산파, 조파, 복토직파를 비교한 결과 10a당 각각 549kg/10a, 523kg/10a, 577kg/10a로써 복토직파재배에서 577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량(교잡벼)은 10a당 3.0kg/10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복토직파재배기술은 중국의 교잡벼(Hybrid)에도 그 활용성이 입증이 되었다. ○ 복토직파재배에서는 다른 직파법에 비하여 줄기 및 흰 뿌리가 많았으며 하위 절간이 3cm 내외 깊게 묻히어 도복에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