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에 현존하는 유상곡수 유구의 형태 고찰을 바탕으로 강진 백운동원림 내원에 조성된 유상곡수의 형태 및 기능 그리고 조영에 담긴 의미론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운동원림의 곡수로의 평균 폭은 41㎝, 평균 깊이는 11.5㎝에 이르고 총 연장길이는 48.5m이다. 곡수로의 단면형태는 ‘ ’ 형이며 초정의 유배정을 갖는 형태로 입수구와 출수구를 달리하는 이원형 구조이다. 곡수로의 유형은 수로형에 근접하며 세부디자인 형태는 직선형의 비대칭 형태를 보이지만 대칭형의 변형된 ‘回字’ 형 또는 ‘ㄷ字’ 형에 근접하나 중국이나 국내에서 확인된 곡수로와 일치되는 형태가 없는 매우 독창적 디자인이다. 계류를 이끌어 ‘回’자 모양의 직선형 곡수로를 조성했다는 점에서는 중국 쓰촨성 광안시 사구탄(四九灘) 유배거와 가장 유사하며, 부지관류형의 특징을 보이는 점에서는 아산 외암마을 송화댁 유상곡수와 유사하다. 백운동원림의 곡수로는 상·하 2개의 방지와 통합 연계되는데 원내에서 총 5번 굴절되도록 고안되었다. 인수(引水)된 물은 계곡의 이곡(二曲)과 외원에서의 이곡(二曲) 그리고 내원에서의 오곡(五曲)을 합쳐 구곡(九曲)을 이루며 초정 형태인 유배정을 5곡에 배치함으로써 유상곡수의 풍류뿐만 아니라 구곡 경영의 상징성을 부가한 것으로 보인다. 평지 곡수로 상에는 상·하 두 곳의 지당을 배치한 쌍지형으로 이는 방화수와 연당으로써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유입수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여과시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누정이나 달 또는 백운동 승경의 자연요소를 투영시키는 인경(引景: pulling scenery)의 기능을 수행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주역(周易)』 “이택상부(麗澤相附)” 의 개념으로 두 개의 이웃한 연못이 맞닿아 넘치면 나누고 모자라면 채워준다”는 뜻을 담은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garding the Forty-eight Poems of Soswaewon by Haseo Kim In-Hu, this study examines the soundscape's sound source type and receiver setting at the time of Soswaewon Garden landscaping and how the function and meaning of garden sounds are produced and expressed through literature and on-site survey.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soundscape’s main receiver setting in Soswaewon Garden, area at stream garden, Chojeong, Jewol Pavilion, and Gwangpung Pavilion and a display stand were identified, and a combination of various forms of water sounds and artificial sounds around the mountain stream and musical panorama of nature are the sources of sound. Diversity Soswaewon’s soundscape acts as an important landscape resource for playing, sightseeing, and appreciating Soswaewon Garden. In the Forty-eight Poems of Soswaewon, the methods of enjoying the landscape were the act in which the scholars’ view of life and nature are contained at the time of garden landscaping.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e Forty-eight Poems of Soswaewon is a textbook about old scenery in which real landscape and semantic landscape are substituted by connecting various sceneries of the season to scholars’ experience of taste for the arts through borrowed scenery and borrowed sound. The soundscape in the Forty-eight Poems of Soswaewon intactly contains the taste of entertainment in appreciation of the garden’s scenery of the season and scholars’ self-cultivational practice for mind and body called self-projection and reflection by having the flow of the mountain stream as the focal point of the garden. The fact that Soswaewon’s soundscape was of as great importance as visual landscape implies that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odern landscape desig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