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표준모형안을 설계하기 위하여 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 105 명(평 균 23.5 세)을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 각막전후변의 곡률반경 및 두께.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및 안축장을 측정하였다. 수정 전후변의 곡률반경은 Bennett 식을 기초로 계산하였다. 모형안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광학상수에 대힌 데이터를 수집 하기 전에 광학적인 방법과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법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비교분석 하여 가장 적합한 측정볍을 선택하였다. 모형안의 등가굴절력과 주요점을 계산하기 위하여 안내매질의 굴절활은 Gullstrand - Emsley 모형안 및 Bennett 이 제시한 새로 운 모형안에서 제시된 값을 적용하여 가우스 단축결상식을 이용하였으며. 4 개의 굴절 떤을 갖는 모형안을 설계하였다, Gullstrand - Emsley 모형안 및 Bennett 이 제시한 새 보운 모형안과 비교했을 때, 한국인 정시안에서 각막전변의 곡률반경이 더 걸고 각박 의 꽁가굴절랙은 더 약하며, 수정체 전후변의 곡률반경이 더 짧고 두께가 더 앓으며 등까굴전력이 더 강하고, 안축장이 더 짧고 눈의 등가굴절력은 더 강한 것으로 나타 났다. 랜- 연구결과뜰 종합하면 저자들이 제시한 4 개의 굴절변을 갖는 한국인 모형안 은 G ullstrand - Emsley 모형안 및 Bennett 이 제시한 새로운 모형안과 차이가 있으며. 향후 한국인 정시안을 대변할 수 있는 모형안에 대한 연구가 펼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