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deum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육종법의 실용화를 체계화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배의 적취시기, 유배의 크기에 따른 배배양 반응, 배지 및 환경조건 등을 조사하였다. 1. 유배의 적취시기는 배발육과 식물체 발생률을 고려할 때 수분 후 17일이 적기였다. 2. 식물체 발생에 유리한 유배의 크기는 0.9mm내외였다. 3. 식물체 발생에 효과적인 배지 및 배양조건은 MS배지의 암상태에서 발생시킨 후 명상태로 하는 것이 정상 식물체 발생률(3%)이 높았으나, 작업상의 편리성을 고려한다면 B5배지에서 24시간의 일장처리조건이 좋았다. 4. 반수체는 정상 2배체에 비하여 배 및 식물체의 발생이 현저히 부진하였다.
        2.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deum bulbosum에 의한 보리 반수체 이용육종은 단기간에 목적 형질을 고정하는 일반적인 이점 외에 세포학적으로 안정된 많은 반수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기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의 실용화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일년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우선, H. bulbosum의 여러 형질의 특성 및 재배종과의 교배시 유배형성율등을 조사하였다. H. bulbosum은 H. vulgare에 비하여 간이 가늘고 간장이 길며 세엽이나, 수장이 길고 수당영화수가 2배이상 많으며 수장개화일수가 3배이상 길었으며, H bulbosumrks에는 차이가 적었다. H. bulbosum중 4배체는 2배체에 비하여 유배형성율은 8%, 식물체 발생율은 2배이상 높으나 염색체의 일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으므로 보리의 반수체를 이용한 육종에는 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3.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종간교잡을 이용한 효과적인 보리 반수체 육성에 관한 체계적인 방법을 수립코자 실시하였다. 반수체 배 생산은 보리 품종 Bruce, Klages 와 Rodeo를 모본으로, H. bulbosum을 부본으로 하였다. 1. 총 1,687 화를 교배하여 1,079립의 종자를 수확하여 46% 교잡율을 얻었다. 2. 1,079립의 종자로부터 834개의 배를 생산하여 77%의 배 형성율을 얻었다. 3. 근 발육촉진을 위해서는 IAA가 NAA보다 효과적이었고, 4. 0ppm, 1ppm, 5ppm, 10ppm과 30 ppm의 IAA 농도중 1ppm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5. 콜치신에 의한 염색체 증가율은 82%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