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특정작물의 연작재배가 만연한 국내 경작지 중, 특히 인삼재배지는 인삼뿌리썩음병균, 시설재배지는 선충에 의한 연작피해가 매우 심각하며, 주로 화학·생물학 약제로 방제하지만 효과가 낮고 토양오염과 약제저항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음. 모든 살아 있는 병해충은 고온에 저항성이 없는 장점에 착안하여 마이크로파(915MHz) 전력밀도 균일화 응용으로 경작지 토양 30cm 이상 깊이까지 100℃ 이상 침투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방제장치 및 방제기술을 개발하여 토양 속에 존재하는 선충, 개미, 인삼뿌리썩음병균에 적용한 결과, 선충은 60℃, 개미는 50℃에서 완전사멸 되었으며, 인삼뿌리썩음병균은 80℃에서 연작 가능한 수치까지 떨어지는 방제 효과를 나타 냄에 따라 농약을 대체하는 방제기술로 평가된다.
      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설폐기물의 처리는 국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순환골재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분말은 전량 폐기 매립되고 있다. 미분말의 유해성을 분석한 결과 세포독성을 함유하고 있어 토양 및 지하수오염 등 2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분말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하고자 시멘트 대신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작업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콘크리트의 실험 결과에서, 혼화제를 적절히 사용하면 미분말을 시멘트 대신 20% 이하 치환한 경우 콘크리트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4,000원
      4.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배상황버섯의 유산균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B. breve에 대한 증식 효과와 배양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했다.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을 버섯추출물 함유 배지에서 배양시 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β-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그 외에도 대장암 및 방광암 등의 원인효소로 주목되고 있는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층 효소인 β-glucosidase 및 tryptopha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외에도 인슐린 비의 존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acarbose보다는 약하지만 maltase, sucrase 및 알파아밀라제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3,000원
      5.
      202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pefruit extract rich in functional substances adjusting pH 5.0 and adding sucrose (final concentration, 2%) was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CJNU 0147 strain, consequently prepared a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containing dextr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n gut harmful bacterium Clostridium difficile strain using the prepared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the viable cell count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vs. control for 0.5 brix as a final concentration; p<0.001 vs. control for 1.0 brix). On the other hand, the proliferative ability of the extract for Bifidobacterium breve strain, which is one of the species of the genus Bifidobacterium well known as human gut beneficial bacteria, was confirmed (p<0.001 vs. control for both 0.5 and 1.0 brix). These results indicate fermented grapefruit extract with Leu. mesenteroides CJNU 0147 strain inhibits the growth of gut harmful bacterium C. difficile and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bacterium B. breve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gut health.
      6.
      202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on harmful gas production generated by pig slurry. A total of 180 crossbred pigs ([Yorkshire x Land race] x Duroc, live weight 70±3.21 kg) were allotted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3 treatments and 3 replications (20 heads per replicate). The treatments consisted of 0% (control), 0.05% (T1), or 1% (T2) of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Manure additives were added weekly to pig slurry pits (2 m × 4.5 m × 1.2 m) on a volumetric basis. For ammonia measured at both 10 cm and 90 cm above the pig slurry pit,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found in probiotics and zeolite-treated manure additives at weeks 1 – 3, except for week 0. In addition, hydrogen sulfide levels measured at 10 cm above the pig slurry pit were not affected by the manure additive at weeks 0 and 1, but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t weeks 2 and 3 (p<0.05). Therefore, supplementing pig slurry with 0.05% and 0.1%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pig facilities.
      7.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분의 발아조건에 따른 식품유해균에 대한 항균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w/v)설탕용액에 화분 8%(w/v)를 첨가하여 에서 4일간 발아시켰을 때 식품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최소저해농도를 그람양성세균은 , 그람음성세균은 에서 균생육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유기산을 조사한 결과 acetic acid와 lact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열과 pH 안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