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수리의 미숙배로부터 체소포배 형성시 자엽의 수적변이에 미치는 cytokinin의 영향을 조사하하였다. 구상형배에 0.2mg/l의 BA, 2ip, kinetin을 각각 처리하여 2주간 배양하였을 때, 다자엽의 형성률은 각각 84.9, 42.6, 32.9%로서 대조구(25.2%)에 비하여 BA>2ip>kinein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BA 처리시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A를 농도별(0, 0.01, 0.05, 0.1mg/l)로 배발생세포괴에 2주간 처리하였을 때, 다자엽의 형성율은 각각 23.3, 39.7, 69.4, 74.4%로서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0.2mg/l의 BA를 구상형, 심장형, 또는 어뢰형, 자엽시기의 배에 2주간 처리한 경우에 다자엽의 형성률은 각각 92.4, 84.4, 26.3%로서 배발생 초기에 처리될 경우에 더욱 높게 나타났다.
        4,000원
        5.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mmature embryos during seed development were examined to predict the suitable embryos for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Five spring wheat genotypes and five winter wheat genotypes were tested using immature embryos as explants. Spring wheat genotypes showed much higher levels of plant regeneration than those of winter wheat genotypes. The highest frequencies of embryogenesis and regeneration were obtained when embryos at 13-14 days after anthesis (DAA) were used as explant and decreased using embryos at 21-22 DAA during seed develop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for callus induction and regeneration as affected by immature embryo size. The regeneration efficiency was drastically decreased in spring and winter wheat genotypes when embryos larger than 2.0 mm of length were used. The optimum developmental stage and embryo length for regeneration efficiency were at 13-14 DAA and 1.0-1.5 mm, respectively. The selection of suitable embryos for the high frequencies of embryogenesis and regeneration leads us to efficient genetic improvement of wheat.
        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onication and vacuum infiltration on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using immature embryos of Korean wheat as explants. Two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s, KYRT1 and EHA105, carrying pCAMBIA 1305.1 were used.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demonstrated by the detection of β-glucu-ronidase (GUS) activity. GUS expression showed clear difference among Korean wheat cultivars. Geurumil showed higher GUS expression efficiency 79.1~%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The effects of the duration of vacuum infiltration and sonication treatment showed a tendency high GUS expression efficiency by their combin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Agrobacterium strains, KYRT1 showed high efficiency in most Korean cultivars.
        7.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체계 확립의 방법으로 기내배양에서의 캘러스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와 식물생장 조절물질 및 농도의 최적조건을 구명코자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여러 가지 식물생장 조절물질(2, 4-D, TDZ, IAA, NAA, BAP) 을 단독 처리할 때 2, 4-D 2mg/l 에서 callus 형성율이 45.5%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TDZ 처리시 양호하였으며 간헐적으로 multiple shoot와 root분화가 생겼다. 2.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을 2, 4-D와 TDZ의 조합처리시 callus 형성율은 2, 4-D 2mg/ l +TDZ 0.7mg/ l 일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2, 4-D의 농도가 낮고 TDZ의 농도가 높은 2, 4-D 0.1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다. 3. 배지조성에 따른 callus 형성은 B5, MSB5 배지 모두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실시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2, 4-D 2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으며, B5배지에서 2, 4-D 2mg/ l +TDZ 0.7mg/ l 처리시 100%의 callus형성율을 나타냈다. Shoot의 분화는 auxin류인 2, 4-D보다 cytokinin류인 TDZ처리시 양호하였고 조합처리 또한 2, 4-D의 농도가 낮은 2, 4-D 0,1mg/ l 일때 shoot분화가 형성되었으며 MSB5 배지에서 양호한 shoot의 분화가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