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1.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체계 확립의 방법으로 기내배양에서의 캘러스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와 식물생장 조절물질 및 농도의 최적조건을 구명코자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여러 가지 식물생장 조절물질(2, 4-D, TDZ, IAA, NAA, BAP) 을 단독 처리할 때 2, 4-D 2mg/l 에서 callus 형성율이 45.5%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TDZ 처리시 양호하였으며 간헐적으로 multiple shoot와 root분화가 생겼다. 2.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을 2, 4-D와 TDZ의 조합처리시 callus 형성율은 2, 4-D 2mg/ l +TDZ 0.7mg/ l 일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shoot의 분화는 2, 4-D의 농도가 낮고 TDZ의 농도가 높은 2, 4-D 0.1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다. 3. 배지조성에 따른 callus 형성은 B5, MSB5 배지 모두 MS배지를 기본으로하여 실시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2, 4-D 2mg/ l +TDZ 0.7mg/ l 에서 양호하였으며, B5배지에서 2, 4-D 2mg/ l +TDZ 0.7mg/ l 처리시 100%의 callus형성율을 나타냈다. Shoot의 분화는 auxin류인 2, 4-D보다 cytokinin류인 TDZ처리시 양호하였고 조합처리 또한 2, 4-D의 농도가 낮은 2, 4-D 0,1mg/ l 일때 shoot분화가 형성되었으며 MSB5 배지에서 양호한 shoot의 분화가 형성되었다.
        2.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하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증식방법 확립의 일환으로 실시한 기내배양에서의 소괴경형성 및 식물체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 NAA와 Thidiazuron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고져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절물질로 NAA와 TDZ을 단독처리 할 때 TDZ 0.5 μM에서 shoot수가 45개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root분화는 NAA 2.0 mg/l 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2. NAA 0.1 mg/l +TDZ 2.0 μM 조합처리에서 shoot분화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NAA 2.0 mg/l +TDZ 2.0 μM 처리시에 가장 저조하였다. 3. 반하의 소괴경 형성은 MS배지에서는 TDZ 5.0 μM 단독처리와 NAA 0.1 mg/l +TDZ 2.0 μM 처리에서 소괴경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B5배지에서는 TDZ 1.0 μM 단독처리와 NAA 1.0 mg/l +TDZ 5.0 μM 처리에서 소괴경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생체중은 NAA 0.1 mg/l 와 TDZ 5.0 μM의 단독처리에서 생체중이 가장 무거웠다. 4. MS, MG, B5배지조성에 따른 소괴경형성은 MG배지에서 30일배양후 가장 양호하였으며 생체중도 좋았다. 5. 분화된 식물체 뿌리분화에는 IAA보다 NAA가, MS 보다 1/2MS가 더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 1/2MS배지에 NAA 2 mg/l 를 처리하였을 때 23.3개의 뿌리가 유도되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완전분화된 식물체를 vermiculite가 담긴 포트에 이식하여 온실에서 순화시킨 결과 80%정도의 생존율을 보였다.
        3.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지구엽초의 번식과 재배법을 개발하여 자생지에서의 남획과 자연 소멸을 막는 동시에 양질의 삼지구엽초 생약을 확보하긴 위한 일련의 실험중 채취시기 및 생산지에 따른 주요성분의 함량차를 비교 검토하였던바 채취시기에 따라서는 여름보다는 가을(9월 증순)에 채취한 것이 icariin성분이 월등히 높았고, 재배산과 자연산간에는 자연산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한편 철원지역에서 채취한 지구엽초(0.94%)에 비해 중국산(0.4%)의 icariin함량은 절반수준에 불과하여 삼지구엽초는 채취시기 및 장소에 따라 품질의 차이 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4.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當歸) 추대억제(抽臺抑制) 재배법(栽培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자를 조기에 파종, 육묘하여 본포에 이식한 후 당년가을에 수확한 뿌리의 부위별(部位別) 주성분(主成分)을 관행재배한 당귀와 비교하므로서 1년생 당귀의 추대억제효과와 약재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저 하였다. 1. 관행(慣行) 재배(栽培)한 2년생 당귀의 뿌리내 decursin 과 decursionol angelate의 함량을 합한 평균치는 6.47% 임에 비하여, 단기육묘(短期育苗)하여 수확한 1년생 뿌리 내에서의 함량은 4.82%로 낮은 경향이었다. 2. 약효성분(藥效成分)의 부위별(部位別) 함량은 세근(지근)과 피충부가 높은 반면 중심주에서는 낮은 경향이었다. 3. Decursin및 decursinol angelate의 구성비(構成比)는 1년생에서는 10 : 7.5, 2년생에서는 10 : 6의 비율로 2년생에서 는 decursinol angelat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2년생에서는 부위에 관계없이 두성분의 구성비가 60% 정도로 안정적인데 반해, 1년생에서는 세근과 지근에서 decursional angelate 구성비가 높은 경향이었다. 4. 조기(早期) 육묘재배(育苗栽培)한 1년생 당귀의 생약적(生藥的) 가치(價値)는 일정 면적(面積)에서의 수량(收量)이나 또는 단순한 성분함(成分含) 양면(量面)에서 무리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주성분인 decursin의 구조이성체인 decursinol angelate와의 구성비(構成比)에 따른 효능상의 문제는 추후 검토가 요망된다.
        5.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재배시 가장 문제시되는 추대억제방법(抽臺抑制方法)을 재배적측면(栽培的側面)에서 개발코자 육묘기간(育苗期間)을 단축하여 육묘하고 이들을 포장에 이식하여 시험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苗)의 지상부(地上部) 생장(生長)은 엽장(葉長), 엽폭(葉幅)에 비하여 엽병(葉柄)의 신장이 현저하였고 뿌리 형질에서는 육묘기간이 길수록 근장(根長), 근직경(根直徑) 및 근중(根重)이 증가하였으나 120일묘에 있어서는 pot가 작아 묘(苗)의 노화, 상토의 영양결핍 현상이 관찰되었다. 2. 본포에서의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은 관행묘이식구가 단기 pot육묘구보다 왕성하였으나 단기 pot육묘구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추대율(抽臺率)은 관행묘 이식구에서는 64.3%의 추대율을 보인 반면 단기 pot육묘구에서는 육묘기간에 관계없이 모두 추대되지 않았다. 4. 수확된 당귀의 근형질(根形質) 및 수량(收量)은 관행묘 이식구에 비하며 단기 pot육묘이식구에서 근형질이 크고 수량도 높은 경향이었으며 단기 pot묘 이식구중에서는 육묘기간이 길수록 수량도 높았다. 5. 당귀재배시 추대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수량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3-4g/본의 소묘이식(小苗移植)이 적합하며, 소묘생산을 위해서는 육묘기간(育苗期間) 90-120일 정도의 단기개(短期開) 육묘(育苗)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 되었다.
        6.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세포배의 생산, 보호 및 저장조건의 구명과 체세포배의 기내분화 및 체세포배 배양식물의 유전변이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MS기본배지 보다 1/2MS배지가 체세포배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BA, kinetin처리 모두 0.1~1mg/L에서 체세포배가 발이하여 식물체 형성이 양호하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hoot의 발근과 신장을 위해서는 IAA처리가 효과적이었다. 1/2MS기본배지에 2.0%의 알진산 용액으로 알진산캡슐을 씌운 체세포배의 기내에서의 식물체형성(전환율)은 AgNO35mg/l처리가 86%로 가장 앙호하였다 . 5℃에서 3개월 동안 체세포배를 저온저장하여 65%의 발아가 이루어졌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저하되었다. 체세포배 배앙식물은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분석을 통하여 여러 major band 수준에서 DNA polymorphism이 관찰되었다.
        7.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실험은 대맥의 미숙배 배양을 통한 육종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미숙배 배양시 식물체 유도, 생육 및 출수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조절물질, 배의 성숙정도 및 저온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줄기의 유도에는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된 기본배지도 효과적이었으며, Kinetin 0.5mg/1와 GA3 5mg/l를 처리한 것 이 좋았으나 Kinetin농도가 높을 때에는 shoot 유도가 감소되었다. 2. 지베렐린을 1mg/l와 5mg/l 처리한 배지에서 초장, root길이, root수 등이 좋았으나 Kinetin이 처리된배지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3. 유도된 식물체의 토양생존율은 Kinetin 5mg/l 처리시에 생존율이 가장 낮았고 무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4. 파성정도가 IV인 올보리의 20일배를 4주저온처리 하였을 때에 출수율이 높았고 출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도 짧았다. 5. 저온처리후 Kinetin 5mg/l 처리한 것은 초장, root수, shoot수가 적은 반면 GA3 5mg/l 처리한 것은 생육이 좋았다. 6. 올보리는 생장조절물질과 저온처리에 따라 출수율에 차이를 보였으며 GA3 를 1mg/l처리하고 28일 저온처리하였을때 출수율이 좋았으며, 출수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았다.
        8.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본포 이식시 묘의 중양에 따른 생육상황과 추대정도를 조사하고 추대에 대한 지상하부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의 중양이 클수록 왕성한 생육을 보여 초장, 화서수, 추대율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현재의 일반 관행묘보다 더 작은 소묘를 이식하므로서 16% 정도의 추대율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2. 수양면에서는 이식 당귀묘의 중량이 클수록 추대율이 높아져 뿌리가 목질화되고 왜소하게 되어 근중이 적어지므로서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가급적 5g미만의 소묘가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상하부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지상부형질간, 또는 지하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지상하부 형질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추대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형질은 초장, 엽수, 화서수 및 생체중 등이혀 추대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 근형질은 근중이었다.
        10.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에서 일반(一般) 관행법(慣行法)으로 재배(栽培)할 때 5월(月)제(第)1본엽(本葉) 출현후(出現後)부터 5월(月) 하순(下旬) 제(第)3본엽(本葉) 출현시(出現始)까지 경단조직(莖端助織)의 화아분화(花芽分化) 상태(狀態)를 관찰(觀察)한 바 참당귀의 화아분화(花芽分化)는 제(第)2본엽(本葉)이 출현한 5월(月) 중순경(中旬頃)으로 관찰되었으나 묘소질의 차이에 의한 개체별 분화기변리(分化期變異)가 심(甚)하였다. 따라서 재배관리상(栽培管理上) 추대(抽臺)를 억제(抑制) 또는 감소(減少)시킬 목적(目的)으로 억제(抑制) 물질(物質) 처리(處理), 일장(日長)이나 광도조절(光度調節) 등의 인위적(人爲的) 조치(措置)는 이 시기를 고려함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11.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Mt. Backdu which is located at the borderland between Korea and China, to offer the information and help the people who in order to study and utilize the northernresource plants in future. Actually, the exploration and investigation were executed only in china sideof Mt. Backdu and its outskirts.Totally, 100 families, 281 genus and 703 species were investigated. They were classified into 26 spe-cies of pteridophyta, 14 species of gymnospermae, 101 species of monocotyledons and 562 species of di-cotyledons by general taxonomic classification, and 594 medicinal plants(84.5% ), 296 ornamentalplants(38.3% ), 161 edible plants(22.9% ), 92 industrial plants, 67 honey plants and 17 forage plantsby use.
        12.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crease the bolting rate of Angelica gigas, The growth inhibitors such as MH, Pp333 (paclobutrazol) and CCC(chloroniequat or Cycocel) were treated twice with the interval of 20 days atthe forming stage of flower bud.Growth and bolting rate in plot treated inhibitors were retarded and decreased, and the yield ofroots was also decreased compared with non - treatment. The treatments of MH and Pp333 amongthree inhibitors showed the better effects in decreasing the bolting than that of CCC, but they did notshow the significant in the yield and contents of decursin among each of them.In order to improve the decreasing effects by chemicals, selection of suitable reagents, concentrationand number of treatment should be investigated.
        13.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當歸)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GA3, IAA 및 ABA의 함양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여 생육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이용(利用)한 추대억제방법(抽臺抑制方法)의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3 함양(含量)은 개화전기(開花前期)에 4.87mg/kg으로 가장 높은 수치(數値)를 보였으며 이 시기(時期)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전(前) . 후단계(後段階)로 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IAA의 함양(含量)도 개화전기(開花前期)에 2.27mg/kg으로 가장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그 전(前) . 후단계(後段階)로 갈수록 0. 15 -0.33mg /kg 수준(水準)으로 감소(滅少)하였다. 3. ABA는 생육단계(生育段階)가 진전(進展)됨에 따라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增加)하여 결실기(結實期)에 0.37mg/kg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화기(開花期)에는 일시적(一時的)으로 감소현상(減少現像)을 보였다.
        14.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캘러스 유기는 잎과 화뢰의 유조직에서 잘 되었으며 유엽(65%)이 화기(44%)보다 양호하였고 엽령별 캘러스 유기율은 5,7엽기에서 각각 46% 와 40%의 캘러스유기율을 나타낸 반면 3엽기에서 74%로 가장 높았다. 2. 성숙엽의 배양에서 참시호는 2,4-D2mg / l+TDZ 1mg / l 혼합배지에서 가장 높은 캘러스 유기율(92%)을 나타냈으며 삼도시호는 2,4-D 2mg / l+BA 0.5 1mg / l 에서 캘러스유기 (48%)가 양호하였다. 3. 2,4-D 1-2mg / l와 TDZ 0.1-lmg / l가 첨가된 배지에서 치상 후 15-20일에 캘러스유기율이 50%를 넘었으며 캘러스증식은 Kinetin 3mg / l와 GA 1mg / l 및 GA 1mg / l+TDZ 1mg / l 혼합처리에서 양호하였다. 4. 시호의 체세포조직배양에 적합한 광도는3000Lux이었으며 온도는 25℃가 적온이었다. 5. 체세포배 형성에 있어서 MS배지가 1 / 2MS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식물체의 재분화와 재분화된 식물체의 생장에는 1 / 2X MS배지가 1X MS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16.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 일리노이에 자생하는 야생 까마중종인 Solanum ptycanthum과 Solanum nigrum의 어린자옆으로부터 유기된 callus를 2년이상 장기간 계대배양 후 식물체 분화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IAA, BA, thidiazur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callus 생장과 식물체분화는 IAA와 BA를 혼합처리시보다 thidiazuron을 단독처리 하였을 때가 4-5배 효과적이었다. Thidiazuron과 IAA와 BA간에는 식물체분화에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thidiazuron을 단독처리시보다 IAA를 첨가시 식물체 분화를 감소하였다.
        17.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추대에 비하여 온도와 일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므로서 개화생리현상(開花生理現狀)을 구명하고 이를 토대로 추대억제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는 다른 월년생(越年生) 식물(植物)과 달리 저온처리 없이도 개화되었는바 추대(抽臺) 및 개화(개화)에 대한 저온감응도(低溫感應度)는 둔감한 식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처리온도별 신아(新芽)의 출현 및 초기생육은 20℃와 25℃에서 양호한 반면 15℃에서는 늦게 발육이 부진한 경향이었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15℃와 20℃에서 양호한 반면 고온인 25℃처리구에서는 부진하였다. 3. 참당귀의 추대는 생육적 온인 20℃에서 추대율이 높은 반면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추대율이 다소 낮았고 일장에 따라서는 일조시간이 길수록 추대율이 높았다. 4. 근중(根重)은 목질화(木質化)로 인하여 추대율이 높던 20℃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15℃에서는 지상부의 영양생장기간(營養生長期間)이 길어 추대가 늦었으며 목질화의 진행도 완만(緩慢)하여 비교적 추대율이 높았음에도 수양(收量)은 많은 경향이었으나 비추대개체(非抽臺個體)에 비하여 품질은 낮은 경향이었다. 5. 추대율을 낮추거나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생육적온인 20℃ 이내가 좋고 화아분화기에 단일(短日), 약광(弱光) 상태가 바람직하여 서늘한 지역의 곡간지 포장이나 차광재배등으로 추대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8.
        199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propagation and cultivation methods of Rhodiola elongata Fisch. et Mey. as a part of development of northern plant resources. Seeds were treated and investingated at the 15, 20, 25℃ and 100, 200, 400, 800ppm of the growth regulator GA3, BA, and Kineti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Seeds of R. elongata were the most vigorously germinated at 15-20℃, and rate of germination at 25℃ decreased gradually. Germination rate of seeds that treated growth regulators was remarkably increased than non-treated ones, and GA3 treatment among the growth regulators showed the best effects. 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GA3 for germination of R. elongata seeds was 400 ppm.
        19.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갈피속식물의 종자들은 파종(播種) 후 발아(發芽)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원인(原圖)이 오갈피속 식물의 종자가 미숙배를 갖고 있기 때문인지, 만약 미숙배를 갖고 있는 종자라면 인위적인 후숙처리로 배(胚의) 발육(發育)이 어느 정도 촉진되는지를 구명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인 종자번식방법(種子繁殖方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갈피속 식물들의 종자형질(種子形質)을 조사하고 후숙처리기간중 배(胚)의 발달정도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는 오갈피, 서울오갈피 종자가 가장 크고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 및 오가나무의 순서로 작은 경향이었다. 2. 종피(種皮)의 개열정도(開裂程度)는 오갈피, 서울오갈피의 종피는 각질이 반경질(半硬質)로 연화(軟되化어) 종피의 열개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섬오갈피는 이들보다 각질성(角質性)으로 gibberlline처리구에서만 80%이상의 높은 열개현상(裂開現像)을 나타내었다. 3. 공시된 식물들의 후숙처리시 배(胚)의 발육은 gibberelline을 처리한 종자에서만 배(胚)의 발육이 신장되어 완전한 자엽(子葉)이 형성되고, 종(種)에 따라서는 procambium도 뚜렷이 관찰된 반면, 무처리(無處理) 종자(種子)에서는 생장속도가 매우 늦어 배가 어느 정도 신장하는데 불과하여 발아력(發芽力)을 기대할 수 없었다. 4. 오갈피속 식물종자의 후숙처리(後熟處理) 전(前) 및 후숙기간 중 배(胚)의 크기와 발달정도를 관찰한 결과 인삼종자와 같이 미숙배(未熟胚)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발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0.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양에서는 생약을 주로 한약조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서양에서는 신의약품 개발과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제약업계에서 양약의 제조와 신의약품 개발에 치중하여 생약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당국에서는 계획생산에 대한 지도와 자금지원, 품종관리, 재배 및 신의약품개발에 대한 연구지원, 수입통제에 의한 농민보호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여 우리나라 주종 재배약초의 자포자기적인 생산기피현상을 막아야 할 것이다.
        1 2 3